순전히 책 제목 때문이다. 도서관 신간 코너 책들을 쭉 훑어보다가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책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이전에 하던 일을 그만둔 이유 중에 하나가 그때 하고 있는 일이 무의미하고 무가치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바로 '허무'이다.

'허무'는 내 인생에 화두다. 가치있고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어서 대학교를 가고 대학원을 다니며 했던 일들이 어느날부터인가 위선적이라 느껴졌다. 이런 논리, 저런 명문을 내세우지만 결국은 탐욕을 정당화시켜주는 일에 불과하다 생각되었다. '허무'했다.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는 이 책의 제목일 뿐 아니라 내 인생의 화두이다.


이 책은 '허무와 더불어 사는 삶'을 말한다이것이 중요하다. 허무 극복이 인생의 목적과 목표가 될 수 없다. 인생은 허무하기 때문이다. 허무를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허무와 더불어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목적 없는 삶을 살기 위해서 다른 무엇이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돈, 인정, 명예 등등이... 이런 것들이 필요하지만 결코 목적이 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돈'이나 '명예'가 인생의 목적이 될 수 없다며 더 고상한 가치를 말하는 이들 가운데 중에 결국 '돈'과 '명예'에 목매어 사는 걸 너무 많이 봤다. 특히 종교인들이 그렇게 하는 것을 너무 많이 봤다.


거기에는 아무것도 없다. 아무것도 없기에 원한다면 당신이 무엇인가 담을 수도 있다. 인생의 정해진 의미가 없기에, 각자 원하는 의미를 인생의 담을 수 있듯이. - P43

나이가 들수록 경직이란 과제와 싸워야 한다. 몸이든 마음이든. 죽은 뒤에야 비로소 사후 경직이 찾아온다.
- P69

관건은 정해둔 목표의 정복이 아니라, 목표에 다가가는 과정에서 자기 스타일을 찾는 것이다. - P103

노동을 없애는 것이 구원이 아니라 노동의 질을 바꾸는 것이 구원이다. 일로부터 벗어나야 구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을 즐길 수 있어야 구원이 있다. - P157

단지 팔기 위해 허겁지겁하는 노동이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좋은 물건을 만들기 위한 공들인 노력, 그리하여 일상의 디테일이 깃든 작은 예술과 그 아름다움이야말로 우리를 구원할 것이라는 말이다. 그것들이야말로 우리의 노동을 즐길 만한 것으로 만든다. - P159

구원은 비천하고 무의미한 노동을 즐길 만한 노동으로 만드는 데서 올 것이다. - P160

서둘러 판단하지 않고 구체적인 양상을 집요하게 응시하는 것, 그것은 산산한 삶의 시간을 견딜 수 있게 해주는 레시피이기도 하다. - P177

대상을 좋아하되 파묻히지 않으려면, 마음의 중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마음의 중심은 경직되어서는 안 된다. 경직되지 않아야 기꺼이 좋아하는 대상을 받아들이고, 또 그 대상에게 집착하지 않을 수 있다. - P2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작은 출판사를 소개합니다 - 혼자 일하지만 행복한 1인 출판사의 하루
최수진 지음 / 세나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인 출판사는 나의 오랜 꿈이다. 나처럼 '1인 출판사 한번 해 볼까?'라고 생각하고 있는 이들에게 판단에 도움이 되자는 의도로 이 책을 썼다고 프롤로그에서 밝히고 있다. 이 의도대로 1인 출판사 대표로서 일상을 솔직 담백하게 보여준다.

1인 출판사를 하고 싶지만, 출판업 경험이 전무하기에 '1인 출판, 독립 출판' 관련 책들을 읽으며 사전 준비를 하고 있다. 이 책은 1인 출판사를 하려면, 그것도 오랫동안 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하여간 1인 출판사는 만만히 볼 일은 아니며 먹여 살려야 할 처자식이 있다면 제발 다시 잘 생각해서 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선택하자'(23쪽) 는 말은 나의 폐부를 찌른다. '만약 내가 좋아하는 분야, 내고 싶은 책만 출판한다면 과연 책을 팔아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까?(32쪽)라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대답할 자신이 지금은 없다. '일단 책을 한 권 내고 나면 꾸준히 계속 책을 내야만 출판사를 유지할 수 있다'(129쪽)고 하는데, 책 한두권은 낼 수는 있지만 꾸준히 책을 낼만한 콘텐츠가 없고 작가들도 모른다.

그래도 나의 인생 이모작은 1인 출판사이다. 거기에 '귀농'과 '사회복지'까지 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더 읽고, 더 쓰고, 더 알아보고, 더 준비하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가 아니라 '저자'를 목표로 삼으라.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한 줄로 말하면 이렇다. 저자는 그냥 글쓰기에 대해서 가아니라 '하나의 테마로 200자 원고지 600매를 쓰는 일'에 적고 있다. 이 책은 총 24개 챕터, 6개의 부록 글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챕터는 ' 10 욕먹을 각오하고, 인용 욕심과 감동에 대한 집착 버리세요 • 에세이 쓰기 ②왜 솔직해지지 못하는가'이다. 솔직함을 막는 요소로 '욕을 먹는 데 대한 두려움, 자신을 치장하고 싶고 뽐내고 싶은 욕심, 교훈과 감동에 대한 집착'을 말한다.

내 이야기다. 사람들 앞에서 말하기 위해 원고를 쓸 때도 그렇고, 블로그에 글을 쓰는 지금도 그렇다. 작가는 말한다. '글의 힘은 참으로 오묘하다. 정확한 언어로 자기 안의 고통과 혼란을 붙잡으려 할 때, 쓰는 이는 변신한다'(112쪽) 내 안의 고통과 혼란을 정확한 언어로 규정하지 못하고 있고 내 안의 고통과 혼란을 붙잡으려 하지 않고 외면하기에 바쁜 것은 아닌지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된다.

글쓰기를 꿈꾸는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그중에서도 작가가 아니라 저자가 되고자 하는 이들에게 강력 추천한다

결국 진부하더라도 가장 믿을 만한 지침은,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는 옛 격언이다.

- P69

완전한 형태로 내려오는 영감은 없다. 모든 영감은 불완전한 형태로 온다. 그걸 완성하는 것이 작가의 일이다. - P86

개성을 발견하고 키우려면 저지르지 말고 관찰해야 한다. 느끼지 말고 생각해야 한다.

- P116

글을 날카롭게 깎되 마음은 온유하게 먹자. 욕을 먹어야 한다면 정확한 욕을 들어먹기 위해 애쓰자.
- P233

긴 글을 읽고 쓰는 사람이 늘어나면 사회가 발전한다. 이해와 성찰의 총량이 그만큼 증가한다는 뜻이므로. 반대로 사람들이 한 줄짜리 댓글에 몰두하는 사회는 얕고 비참하다. - P2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퇴근 후, 독립출판 퇴근 후 시리즈 14
구선아 지음 / 알비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립출판 핵심 요약집.

독립출판과 독립서점에 관심이 많아서 이 책을 읽었다. 독립출판의 개념부터 시작해서 책의 콘텐츠를 찾아 원고를 쓰고 디자인을 해서 인쇄, 제작에 이는 과정과 독립출판사 창업과 책 마케팅, 홍보방법까지 정리해서 알려주는 책이다. 독립출판을 하고 싶은 이들에게 강력 추천한다. 글을 쓰고 싶은 이들에게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 피곤한 세상에서 벗어나 잠시 쉬어갈 용기
정희재 지음 / 갤리온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4개월째다.

일터에서 나와 쉬고 있는 것이...

그런 나에게 작은 위로와 격려를 주는 책이다.

헛되이 거저 지나가는 시간은 없다. 인간의 치명적인 약점인 조급증과 욕심 때문에 실감하지 못할 뿐 - P8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란 나 자신의 가치와 신념이 아닌 사회가 강요하는 트렌드나 경향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삶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상처받은 이들에게 꼭 필요한 권리장전이기도 하다. - P10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에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을 성찰해보지 않는 사람은 진정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법을 모른다 - P12

정답과 골인 지점이 눈앞에 뻔히 보여도 자신만의 보폭으로 뚜벅뚜벅 걸어가는 것, 과정을 생략하고 결론에 바로 도달하고 싶은 조급함을 참는 것. 인생은 경보 경기와 닮아 있다. - P20

사람은 가진 것으로 제사 지낼 수밖에 없다. - P38

멈춘다는 것은 주류를 이루는 가치에 ‘정말 그런가?‘하고 의문을 던지는 것이며, 엄숙함을 가장한 가짜 권위를 향해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것이다. - P50

행복의 기준은 최대한 낮춰 잡고, 나쁜 일의 기준은 최대한 높이 잡을 것. 해옥의 그물코는 작은 기쁨이라도 놓치지 않도록 최대한 촘촘하게 만들고, 불행의 그물코는 웬만한 것쯤은 다 빠져나가도록 크고 넓게 만들 것. - P84

공기처럼 가볍게, 햇살처럼 맑고 빛나게, 재밌고 신나게 오늘을 산다면 그게 바로 위대한 성공인 것을. - P2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