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개정판
김훈 지음 / 푸른숲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발바닥의 굳은살은 개들의 삼국유사였다.(9)

 

이 구절이 나는 참 좋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김훈 작가님의 문장,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칼의 노래)에 버금갈 만큼이다. 이 책은 개들의 삼국유사 해례본이다. 김훈 작가님은 발바닥에 굳은 살이 박힐 만큼 온 천지를 싸돌아다니며 온 몸에 새긴 개들의 삼국유사을 읽어내고, 그것을 풀어 우리에게 알려준다. 내가 깨달은 몇가지를 적어본다.

 

 

온 몸의 구멍들을 활짝 열어놓고 있으면, 그리고 세상을 끝없이 두리번거리고 또 노려보고 있으면 귓구멍과 코구멍 속으로 들어오는 이 세상의 냄새와 소리와 빛깔들이 너무나도 신기하고 기쁘고 또 두렵고 낯설고 새롭다. (30)

 

신바람을 기본 정신으로 살아가는 개들이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신바람 비법이다. 모든 것을 당연하게 여기며 살아갈 때, 신바람은 없다. 당연한 건 없다. 주의를 기울이고 자세히 살펴보면 신기하다. 새롭다. 낯설다. 결코 무덤덤하게 살 수 없다. 개들이 발로 만져보고, 코로 냄새를 맡고, 수염으로 느껴보는 것처럼 낯설고 새롭고 신기한 일상을 신나게 살자

 

 

남의 눈치 전혀 보지 않고 남이야 어찌 되건 제멋대로 하는 사람들, 이런 눈치 없고 막가는 사람이 잘난 사람 대접을 받고 또 이런 사람들이 소신 있는 사람이라고 칭찬받는 소리를 들으면 개들은 웃는다. 웃지가 않기가 힘들다. 그야말로 개수작이다.(34)

 

개는 개수작을 하지 않는다. 개수작은 제 멋대로 하는 그 사람들, 걔들이 하는 수작, 걔수작이다국민들의 눈치를 전혀 보지 않는 국회의원들과 행정관료들, 신앙의 이름으로 자신의 탐욕을 채우기에 바쁜 종교인들, 걔들이 하는 수작이 개수작이다. 가진 돈이 많고, 앉은 자리가 높고, 아는 사람이 많다고 함부로 하는 걔들은 오늘도 개수작을 한다.

 

 

내가 사람의 아름다움에 홀려 있을 때, 사람들은 자기네들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모르고 있었다

(124)

 

어이쿠! '보리수' 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었다는 석가처럼, '보리'의 말에서 귀한 가르침을 받았다. 한동안 이걸 모르고 살았다. 나이를 조금 먹고 나니 이제는 조금 알겠다. 그런데 지금도 모르고 살때가 많다. 발바닥에 굳은 살이 박힐 만큼 온 몸으로 깨달은 것이 아니어서일까? 개들을 반려'동물'이라고 한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반려'스승'이라 불러야겠다.

 

개짖는 소리 시끄럽다 화내지 마라

사람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제발 알라는

외침일 수 있으니...

 

 

개발바닥의 굳은살은 개들의 『삼국유사』였다 - P9

온 몸의 구멍들을 활짝 열어놓고 있으면, 그리고 세상을 끝없이 두리번거리고 또 노려보고 있으면 귓구멍과 코구멍 속으로 들어오는 이 세상의 냄새와 소리와 빛깔들이 너무나도 신기하고 기쁘고 또 두렵고 낯설고 새롭다. - P30

남의 눈치 전혀 보지 않고 남이야 어찌 되건 제멋대로 하는 사람들, 이런 눈치 없고 막가는 사람이 잘난 사람 대접을 받고 또 이런 사람들이 소신 있는 사람이라고 칭찬받는 소리를 들으면 개들은 웃는다. 웃지가 않기가 힘들다. 그야말로 개수작이다.( - P34

내가 사람의 아름다움에 홀려 있을 때, 사람들은 자기네들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모르고 있었다
- 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얼빈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심을 했다.

2023년을 시작하며

김훈 작가님의 '하얼빈칼의 노래남한 산성'을 읽어보기로..

 

이 3권을 나는 김훈 작가 3부작으로 이름지었다.

읽는 순서는 가장 최근작인 '하벌빈'부터 시작했다

 

두 갈래였다.

먼저 하얼빈을 읽어본 지인들은

'너무 좋았다'와 '조금 실망스러웠다'는 두 반응으로 나뉘어졌다.

 

나에게는 어떨까?

기대감을 갖고 첫페이지를 열었다.

실망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기대했던 바에는 미치지 못했다.

'내밀하지만 치밀하지 못하다'는 느낌이다.

 

이제껏 영웅으로만 보였던 안중근을

인간적인 면들을 그려주고 있어서 좋았다.

그런데 깊이 들어가지 못한 느낌이다.

 

뭐라할까?

최종본이 아닌 중간본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칼의 노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글펐다.‘
책을 다 읽고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내 마음에 올라온 첫 느낌은 ‘서글픔‘이다. 전쟁 속에 비참하게 살다가 죽어나간 백성들의 삶을 읽으며 서글펐다.
이제껏 이순신에 관한 다큐도, 드라마도 많이 봤다. 영화 명량, 한산도 봤다. 그런데 처음이다. 왜란으로 파괴된 백성들의 삶이 느껴지기는..다큐나 드라마, 그리고 영화를 보면서 단 한번도 생각해본 적 없었던 왜란 당시, 백성들의 비참한 삶이 ‘칼의 노래‘를 읽으며 느껴졌다.
돌이켜보니 내 삶의 자리는 백성들인데 이제껏 나는 장군들의 시선에서만 임진왜란을 읽어왔었던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한산성 - 개정판
김훈 지음, 문봉선 그림 / 학고재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병자호란 남한산성에서 김상헌과 최명길은 뜨거운 논쟁을 벌린다. 이른바 주화파와 척화파라 불리는 이들의 논쟁은 그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논리 싸움이 아니다. 죽고 사느냐의 문제였다. 이들의 논쟁은 이제껏 사극등을 통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는 바입니다. 


이번에 남한산성을 읽으면 내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은 김상헌과 최명길이 아니라 '서날쇠'와 '정명수'였다. 김상헌과 최명길은 모두 당대의 최고위 관리로 지배층들이었다. 이에 반해 서날쇠와 정명수는 아주 빈천한 출신이었다. 


김상헌과 최명길이  말이나 글로 자신들의 논리를 펼칠 때에 서날쇠와 정명수는 목숨을 걸고 행동으로 자신들이 꿈꾸는 바를 말한다. 서날쇠는 목숨을 걸고 왕의 격서를 지방의 군병들에게 전했다. 서날쇠가 원하는 바는 가족들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대장간 일을 하는 것입니다. 정명수는 조선 땅에서는 빈천한 신분이었지만 여진말을 배워 통역하는 과정에서 청에서 출세해서 조선왕도 함부로 대할수 없을 만큼의 권세를 누렸다. 그 권세로 정명수는 뇌물과 여색을 수탈했다. 


서날쇠와 정명수의 모습을 보며 삶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게 된다.

말의 길은 마음속으로 뻗어 있고, 삶의 길은 땅 위로 뻗어 있다. 삶의 길은 온전히 짊어지고 갈 수 없고 말이 삶을 모두 감당해낼 수도 없다. - P3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칼의 노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글펐다.‘

다 읽고 책장을 덮으며
내 마음에 올라온 첫 느낌은 ‘서글픔‘이다.

전쟁 속에 비참하게 살다가 죽어나간
백성들의 삶을 읽으며 서글펐다.

이순신에 관한 다큐도, 드라마도 많이 봤다.
영화 명량, 한산도 봤다.
그런데 처음이다. 왜란으로 파괴된 백성들의 삶이 느껴지기는..

다큐나 드라마,
그리고 영화를 보면서 단 한번도 생각해본 적 없었던
왜란 당시, 백성들의 비참한 삶이 ‘칼의 노래‘를 읽으며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