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증거에 입각해 확신하는 습관, 증거가 확실하게 보장하는 정도까지만 확신하는 습관이 일반화된다면 현재 세계 앓고 있는 질환에 대부분이 치유될 것이다. - P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람을 만난 장소(진료실이냐 아니냐)가 사람에 대한 나 인식에 큰 걸림돌이었던 셈이다. 내 앞에 한 사람을 운전한 존재로 바라보기 어려웠던 이유가 바로 그것이었다. - P20

사람의 삶의 마지막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부적 환경이나 상황 등 그들의 조건이 아니라 그 사람 존재 자체다. - P23

누구든 내 삶이 나와 멀어질수록 위험해진다. - P41

자기 존재의 주목을 받은 이유부터가 제대로 된 내 삶의 시작이다. 거기서부터 건강한 일상이 시작된다.
노인도 그렇고 청년이나 아이들도 그렇다. 너도 그렇고 나도 그렇다. - P47

내가 그럴 때는 분명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 아이는 말은 ‘너는 항상 옳다‘는 말에 뭔 뜻이다.
그것은 확실한 ‘내 편 인증‘이다. 이것이 심리적 생명줄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에게 꼭 필요한 산소 공급이다. - P49

우리가 살면서 겪는 모든 감정들은 삶의 나침반이다.
약으로 함부로 없앨 하찮은 것이 아니다.
약으로 무조건 눌러버리면 내 삶에 나침반과 등대도 함께 사라진다.
감정은 내 존재의 일이다. - P92

언제나 나를 놓쳐선 안 된다.
언제나 내가 먼저다. 그게 공감이 중요한 성공 비결이다. - P120

내가 모르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시작되는 과정이 공감이다.
제대로 알고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조심스럽게 물어야 공감할 수 그래서 공감은 가장 입체적이고 총체적인 파악인 동시에 상대에 대한 이해이고 앎이다.. - P127

‘거부감 들지 않고 다정하게, 그러나 구체적인‘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공감 유발자다.
자세히 알아야 이해하고 이해해야 공감할 수 있다. - P129

공감적 대화에 과녁은 언제나 존재 자체다. - P1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아보니 정말 그랬다. '괜찮은 척, 아무렇지 않은 척했던 순간에도' 듣고 싶었던 말이 있었다. 그 말을 듣지 못해 마음은 상했고 얼굴은 굳어졌다. 때로는 가장 듣고 싶었던 말을 듣기도 했다. 그 말 한마디는-때로는 글말 한줄- 겨울내내 얼어있던 땅을 녹이는 봄비처럼, 내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었다. 그랬던 삶의 순간들이 오롯이 이 책에 담겨 있다.

내 주위에도 괜찮은 척, 아무렇지 않은 척하고 있지만 듣고 싶었던 말을 듣지 못한 이들이 있을 거라 생각이 들었다. 아내와 아이들이 그럴거 같고, 몇몇 친구들의 얼굴이 떠올랐다. 그런 이들의 마음을 알고, 애틋한 위로의 말을 건내는 사람이 되고 싶다. '엄마, 아버지도 사는 게 무섭던 때가 있었단다'의 엄마처럼...

결국 인생은 인내심과 정성을 얼마나 쏟느냐의 문제임을 아버지는 말없이 가르쳐 주고 싶었던 것지도 모르겠다. - P32

누군가에게 꼭 필요한 사람이라고 인정받아야 ‘쓸모‘ 있는 인간이 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꼭 필요한 존재라는 확신이 있어야 ‘잘 쓰이는‘삶을 살 수 있다. - P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전히 책 제목 때문이다. 도서관 신간 코너 책들을 쭉 훑어보다가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책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이전에 하던 일을 그만둔 이유 중에 하나가 그때 하고 있는 일이 무의미하고 무가치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바로 '허무'이다.

'허무'는 내 인생에 화두다. 가치있고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어서 대학교를 가고 대학원을 다니며 했던 일들이 어느날부터인가 위선적이라 느껴졌다. 이런 논리, 저런 명문을 내세우지만 결국은 탐욕을 정당화시켜주는 일에 불과하다 생각되었다. '허무'했다.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는 이 책의 제목일 뿐 아니라 내 인생의 화두이다.


이 책은 '허무와 더불어 사는 삶'을 말한다이것이 중요하다. 허무 극복이 인생의 목적과 목표가 될 수 없다. 인생은 허무하기 때문이다. 허무를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허무와 더불어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목적 없는 삶을 살기 위해서 다른 무엇이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돈, 인정, 명예 등등이... 이런 것들이 필요하지만 결코 목적이 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돈'이나 '명예'가 인생의 목적이 될 수 없다며 더 고상한 가치를 말하는 이들 가운데 중에 결국 '돈'과 '명예'에 목매어 사는 걸 너무 많이 봤다. 특히 종교인들이 그렇게 하는 것을 너무 많이 봤다.


거기에는 아무것도 없다. 아무것도 없기에 원한다면 당신이 무엇인가 담을 수도 있다. 인생의 정해진 의미가 없기에, 각자 원하는 의미를 인생의 담을 수 있듯이. - P43

나이가 들수록 경직이란 과제와 싸워야 한다. 몸이든 마음이든. 죽은 뒤에야 비로소 사후 경직이 찾아온다.
- P69

관건은 정해둔 목표의 정복이 아니라, 목표에 다가가는 과정에서 자기 스타일을 찾는 것이다. - P103

노동을 없애는 것이 구원이 아니라 노동의 질을 바꾸는 것이 구원이다. 일로부터 벗어나야 구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을 즐길 수 있어야 구원이 있다. - P157

단지 팔기 위해 허겁지겁하는 노동이 아니라, 실생활에 필요한 좋은 물건을 만들기 위한 공들인 노력, 그리하여 일상의 디테일이 깃든 작은 예술과 그 아름다움이야말로 우리를 구원할 것이라는 말이다. 그것들이야말로 우리의 노동을 즐길 만한 것으로 만든다. - P159

구원은 비천하고 무의미한 노동을 즐길 만한 노동으로 만드는 데서 올 것이다. - P160

서둘러 판단하지 않고 구체적인 양상을 집요하게 응시하는 것, 그것은 산산한 삶의 시간을 견딜 수 있게 해주는 레시피이기도 하다. - P177

대상을 좋아하되 파묻히지 않으려면, 마음의 중심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마음의 중심은 경직되어서는 안 된다. 경직되지 않아야 기꺼이 좋아하는 대상을 받아들이고, 또 그 대상에게 집착하지 않을 수 있다. - P2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 피곤한 세상에서 벗어나 잠시 쉬어갈 용기
정희재 지음 / 갤리온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4개월째다.

일터에서 나와 쉬고 있는 것이...

그런 나에게 작은 위로와 격려를 주는 책이다.

헛되이 거저 지나가는 시간은 없다. 인간의 치명적인 약점인 조급증과 욕심 때문에 실감하지 못할 뿐 - P8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란 나 자신의 가치와 신념이 아닌 사회가 강요하는 트렌드나 경향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삶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상처받은 이들에게 꼭 필요한 권리장전이기도 하다. - P10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에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을 성찰해보지 않는 사람은 진정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법을 모른다 - P12

정답과 골인 지점이 눈앞에 뻔히 보여도 자신만의 보폭으로 뚜벅뚜벅 걸어가는 것, 과정을 생략하고 결론에 바로 도달하고 싶은 조급함을 참는 것. 인생은 경보 경기와 닮아 있다. - P20

사람은 가진 것으로 제사 지낼 수밖에 없다. - P38

멈춘다는 것은 주류를 이루는 가치에 ‘정말 그런가?‘하고 의문을 던지는 것이며, 엄숙함을 가장한 가짜 권위를 향해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것이다. - P50

행복의 기준은 최대한 낮춰 잡고, 나쁜 일의 기준은 최대한 높이 잡을 것. 해옥의 그물코는 작은 기쁨이라도 놓치지 않도록 최대한 촘촘하게 만들고, 불행의 그물코는 웬만한 것쯤은 다 빠져나가도록 크고 넓게 만들 것. - P84

공기처럼 가볍게, 햇살처럼 맑고 빛나게, 재밌고 신나게 오늘을 산다면 그게 바로 위대한 성공인 것을. - P2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