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소화 - 4백 년 전에 부친 편지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능소화를 잘 알지 못했다. 아니 지금도 잘 알지 못한다.
그러나 그 이름만은 아련히 기억하고 있었다.
얼마전 우리 가족은 안동 하회마을엘 다녀왔다.
그곳 기와가 얹어진 담벼락 어디쯤에선가
커다란 나팔꽃같은 주황색꽃이 담을 넘어 피어있어
배경삼아 사진을 찍어온 기억이난다.
그저 꽃이 너무너무 생생하여 화려하지도 않으면서
꼭 자기를 바라봐 달라는듯 피어있단  생각을 했었는데...

지금 그것이 원이 엄마 '여늬'의 사랑이었다는 사실에
그냥 스쳐지나오지 못하고 사진으로 담아왔다는 것이
이렇게 '능소화'란 소설을 통해 '여늬'를 만날것을 예언한것만 같다.
어찌 들으면 섬뜩할 수 도 있겠으나 '조두진님'의 이 소설을 읽는다면
무서움 이상의 그리움과 간절한 사랑의 마음을 담아 '능소화'꽃을 바라보게 되리라.

운명이란 그런것일까?
평소 나는 운명이란 내가 개척해 나가면 내게 행복한 미래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산다.
그런데 이 소설속 주인공 '응태'나 '여늬'의 운명은 그 어떤 것으로도 막을 수 가 없었다.
사랑하는 사람이 서로 만나고 사랑하는건 운명이란 말을 우린 쉽게 한다.
'응태'와 '여늬'의 사랑은 그렇게 보이지 않는 서로를 이어주고 있는 끈을 따라
아니 그들의 만남을 그리 막으려 애썼음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능소화가 핀 담을 넘어 서로에게 끌리고
그렇게 부부의 연을 맺어 뜨겁게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운명!

너무 뜨겁게 타는 불은 오래가지 못한단 말이 있듯 그들의 사랑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
그렇게 두 사람의 끈을 끊으려  어깃장을 놓을때는 결국은 운명처럼 맺어지더니
어찌하여 이제 두사람의 사랑이 활활타오름에도 그들은 죽음이라는 슬픈 이별을 만나야하는 것일까?
참 어찌 이리 아이러니한 일이, 어찌 이리 허망한 일이 있을 수 있단 말인가?
이것도 운명이란 말인가?
어쨌거나 원이엄마 '여늬'는 귀밑머리 팥뿌리될때까지 함께 살다 죽자했던
'응태'의 서러운 약속에 답이 되어 돌아오지 않을 편지를 쓴다.

--------------이내 편지 보시고 제 꿈에 와서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어째서 그토록 서둘러 가셨는지요?
어디로 가고 계시는지요? 어떤 운명도 우리를 갈라 놓을 수 없을 것이라고 하셨지요?
우리 함께 죽어 몸이 썩더라도 우리는 헤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하셨지요?
저는 그 말씀을 잊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편지를 써서 넣어드립니다.
당신, 제 꿈에 오셔서 우리 약속을 잊지 않았다고 말씀해 주세요.
어디에 계신지, 우리가 언제 다시 만날지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당신 뱃속의 자식 낳으면 보고 말할 것이 있다고 하셨지요?
그렇게 가시니 뱃속의 자식을 낳으면 누구를 아버지라 하시라는 것인지요?
아무리 한들 제 마음 같겠습니까? 이런 슬픈 일이 하늘 아래 또 있겠습니까?
당신은 한갓 그곳에 가 계실 뿐이지만 아무리 한들 제 마음같이 서럽겠습니까?
하도 없고 끝도 없어 다 못쓰고 대강만 적습니다.
이편지를 자세히 보시고 제 꿈에 와서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 주시고 또 말씀해 주세요.
저는 꿈에서는 당신을 볼 수 있다고 믿습니다.
아무도 몰래 오셔서 보여주세요,
하고 싶은말, 끝이 없습니다.-------------------------------------------------------------
                                    (1998년 안동의 무덤에서 남자의 미라와 함께 발견되었다는 원이 엄마의 편지중에서)

이제 내게 그 능소화는 '여늬'의 남편에 대한 그림움의 실체가 되어 아릿하게 가슴팍을 찌를것만 같다.
꿈에서라도 만나기를 간절히 바라는 '여늬'의 마음을 지금쯤 '응태'는 달래어 주고 있을까?
능소화 축 늘어진 담벼락아래 아직도 생생하게 살아있는 '여늬'의 사랑이 뚝 떨어지면
이제 '여늬'도 '응태'를 만나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다고 믿고싶다.
주홍빛 '능소화'꽃 색을 닮은 이 가을이 깊어 갈 즈음 읽으면 딱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