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네는 쌍둥이가 되고 싶어요 익사이팅북스 (Exciting Books) 34
파울 마어 지음, 문성원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참 뜨끔해하면서도 재미나게 안네와 한네스를 통해 우리 아이들을 염탐한 기분이다.
제목을 읽었을땐  나도 어릴적 내가 쌍둥이였으면 했던 기억이 났다.  어린시절엔 그 쌍둥이들이 너무 재밌어 보이고 신기해 보이고 그랬었나 보다. 그래서 결혼을 하고 쌍둥이를 낳고도 싶었다. 물론 아이 둘을 낳았지만 쌍둥이는 낳지 못해 여전히 그런 아쉬움은 남아있다. 의외로 이 제목의 이야기는 마지막부분에 나온다.
첫번째 엄마 아빠가 외출한 밤에 잠을 설치는 이야기를 읽으며 '어, 이거 우리집 아이들 이야기 아냐~?'했다.
사실 우리부부는 아이들만 남겨두고 심야영화를 본다던지 데이트를 나갔다 오는일이 종종 있다. 그렇게 밤늦게 돌아오면 온 집안에 불이란 불은 다 켜져 있고 커다란 침대 위에 둘이 엉켜져서 코까지 골며 자고 있다. 그  모습을 보면 그저 웃음만 나왔었는데...
정말 안네와 한네스의 나이 만할때  우리 아이들도 그 두 아이처럼 그랬을까? 그래서 우리 딸아이에게 읽어 보게 하고 어땠냐고 물었다. 자기들도 그랬단다. 주로 동생이 잠이 안온다고 자꾸 재밌는 이야기를 해달라고 해서 자기가 똥이야기를 해 준 기억이 난단다. 똥 이야기?

'어떤애가 똥이 너무 마려워서 화장실에 가서 똥을 쌌거든, 그런데 동생이 들어와서 변기통을 확 통째로 들어 버리는거야, 그래서 똥이 바닥에 뚝 떨어졌지 뭐야~! 하하하.'

여하튼 참 궁금했던 그때의 아이들만의 시간을 엿볼 수 있어서 즐거웠다. 한편 그렇게 쉬이 잠들지 못하는 아이들만 두고 외출 나갔다온 때가 참 미안스럽게 떠오른다.
그리고 오빠의 공부를 방해하는 안네의 모습이 바로 우리 아들아이의 모습이다. 누나가 수학 문제 풀기에 전념하려들면 자꾸만 옆에서 말을 시켜 동생이 의도한것과는 다르게 방해꾼이 되고 마는...

가장 강한 자극을 준 이야기는 바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아무렇지 않게 하는 엄마 아빠에게 자신들도 똑같이 엄마 아빠의 흉을 보는 이야기였다. 사실 엄마들이 한자리에 모이면 공동의 관심사가 육아이다 보니  주로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데 꼭 잘 못하는 것들을 자랑삼아 이야기하려는 이상한 심리가 있다. 우리 딸이 옆에서 그런다. 요즘 아이들두 꼭 잘 못한 일들이나 나쁜이야기를 자랑 삼아 한다는 것이다. 생각할수록 사람의 심리란 알 수가 없다.여하튼 안네와 한네스의 이야기를 통해 앞으론 우리 아이의 장단점을 이야기 하기 보다 아이를 위한 정보를 주고 받으며 정말 아이들에게도 들어서 좋은 이야기들을 많이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항상 엄마들의 수다나 아빠와 엄마의 대화에 아이들의 귀가 활짝 열려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겠다.

그외에도 참 재미나고 공감을 주는 이야기들이 우리 아이들 이야기만 같아서 깜짝 깜짝 놀라면서 즐거웠다. 안네의 눈높이에서 참 여러가지를 알게 되어 조금더 아이들과 가까워진 기분이다.
우리 아이들과 지금당장 안네와 한네스가 했던 반대로하기 놀이를 한번 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