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위한 약속 사회계약론 나의 고전 읽기 3
김성은 지음, 장 자크 루소 원작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루소에 대해 아는  것이라면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것뿐 !
알고 보니 실은 이 말도 루소의 말이 아니라 한다.
그저 그의 뜻이 그러하다는걸 나중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것일 뿐!
우리는 정말 그의 생각을 올바로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걸까?

그의 생각과 그의 눈으로 책을 들여다 보라 한 글쓴이의 말대로 그렇게 책을 보고자 노력했다.
우선 이 책의 초반부를 보면 심상치 않은 그의 삶을 엿볼 수 있다.
너무나 힘겹고 너무나 어렵게 살아낸 그의 삶을 먼저 알아서일까?
중반부의 그의 사상은 왠지 가련하다 싶은 생각이 들정도다.
사실 이 부분에 들어가면서  정치라는 것에 그리 관심이 없는 나로써는 한자 한자 읽어 내기가 힘에 겨웠다.
글쓴이가 우리 나라의 이야기를  들어 좀더 쉽고 가깝게 루소의 이야기를 풀어내고자 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무릇 사람이란 잘나고 못난것이 없으므로 노예와 같은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그의 말엔 일리가 있다.
그가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그의 힘겨웠던 삶이 그에게 비판적인 시각을 주었기 때문이리라.
왜 그는 사람들의 관계와 삶을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해야했는지도 그의 입장에서 보면 이해가 간다.
하지만 가족까지도 그렇게 계약에 의한 것이라 말하는 부분은 반감이 든다.
어떤 계약에 의해 사회가 유지 된다기 보다는 서로의 악속에 의해 평화를 유지해 나가는 것이 맞지 않을까?
 
루소에겐 인간에 대한 깊은 신뢰,. 아름다운 공동체에 대한 기대, 사람들이 모두 협력해서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이 있었다고 글쓴이는 말한다.
너무나 이상적인 그의 생각이 비록 꿈에 지나지 않는다 해도 꿈을 꾸는건 자유지 않은가?
지금까지도 그의 사상이 그의 후예들이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계속 연구되어 지고 있다는 사실엔 놀라움을 감 출수가 없다.
시대를 앞서간 그의 행적을 따라 걷다 보면 나도 그와 같은 생각을 할 수 있을까?

나로써는 그저 나 스스로가 양심의 가책이 없게 올바른 행동을 하며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모든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며 화목하게 살아가는 사회가
행복한 사회라 여기며 그렇게 살기 위해 힘쓸뿐이다.  

----------------------------------------------
누군가  우리 삶이 지나치게 쾌락만을 추구하며 과도한 사치와 안락속에 빠져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는 루소의 후예가 아닐까?
현재 살고 있는것보다 조금이라도 단순하고 소박하게 살고자 하는사람,
삶의 편안함을 스스로 포기하거나 절제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모두 루소와 같은 꿈을 꾸고 있는것이다. 
 -------------------------------------------P213

누구나 행복한 사회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생각해 보아야할 루소의 이야기를 글쓴이는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