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마법사 공기 - 자연의 아이들 지구 환경 이야기 1
허창회. 임효숙 지음, 정수영 그림 / 풀빛 / 200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3학년이 된 우리 아들 녀석 과학 공부하면서 보았던 공기.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를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나뭇가지가 흔들리는 거라든지 풍선을 불면 커지는것, 그리고 축구하고 나면 시원하거란다. 그리고 공기도 무게가 있다느니 공간을 차지 하고 있다느니 학교에서 배운것들을 열심히 떠들어댄다.

내가 이책을 진작 접했더라면 우리 아들에게 더 재미난 공기의 이야기를 해 주었을 거 같아 아쉽다. 글쓴이의 대화체 기법이 참 맘에 든다. 초롱 초롱한 눈망울로 글쓴이의 앞에 앉아 열심히 듣고 대답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눈에 보이는듯!

공기가 무게가 있다는 이야기는 얼핏 이해가 잘 안가지만 풍선의 경우 공기를 불어 넣으면 바닥에 가라 앉있는 것을 보고  이해가 되기도 한다. 그런 공기가 우리 주위에 엄청 많은데 왜 그 공기의 무게를 피부로 느끼지 못하는걸까?  그건 공기란 놈이 똑같아지려는 성질이 있어서 위에서 누르는 힘과 밑에서 누르는 힘이 같아 힘센 장사이거나 힘없는 아이이거나 무리 없이 공기를 헤치고 다니는거란다.

그런 공기가 문득 참 고맙게 느껴진다. 꽤 무게가 나가는 내 무거운 몸댕이를  잘 받쳐 주어 내가 전혀 무게를 느끼지 못하고 다닐 수 있게 해 주는 공기는 얼마나 힘이 들까?

그러나 공기에겐 정말 미안하다. 이 지구상에서 배출되는 나쁜 가스들을 공기가 다 감당할 수 없어 오존이란걸 만들어 화를 낸다. 물론 우리에게 좋은 오존도 있다. 하지만 그 오존은 사람이 살지 않는 높은 곳에만 만들어져 햇님의 강한 빛을 막아주는 일을 해야하는데 이젠 그것도 구멍이 뚫려버려 공기가 더이상 사람을 보호해 줄 수가 없게 되었지 않은가?

언제부턴가 식목일이 별로 안중요하게 되어 버렸다. 갈수록 자연의 날을 더 강조해야만 할거 같은데 갈수록 더 기계적인것들에 의존해 가는 사람들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준다. 이상기온과 지구온난화와 엘리뇨라는 이름으로....그러므로 우리가 맑은 공기를 마시고 시원한 바람을 느끼려면 나무를 많이 많이 심어야하겠다.

파란하늘을 볼 수 있는 것도 모두 맑은 공기때문이란다. 공기가 햇님의 예쁜색들을 세상에 퍼뜨려 우리가 맑고 푸른 하늘을 보고 일곱 빛깔 무지개를 볼 수 있듯 우리도 공기의 고마움을 알고 지켜주어야함을 세상에 널리 퍼뜨린다면 언제까지나 공기는 우리에게 환한 미소를 보여줄것이다.

사람은 자연보호 자연은 사람보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