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초상
서철원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나라의 왕이 된다는건 어떤걸까? 그 왕의 초상을 그린다는 것은 또 어떤 의미일까?

조선태종 이방원은 고려의 유민들과 적과의 관계에서 그들을 몰아 내고

자신은 굳은 의지와 옳은 이유로 조선이라는 나라를 이끌어가려고 애쓰지만

그것이 여의치 않을때는 아끼는 사람조차 죽여야하는 그런 상황에 놓이게 되고 만다.

 

방원은 고려의 잔당들을 뿌리 뽑고자 하지만 그 결과 자신이 아끼는 화사 명헌서를 죽여야하는 순간에 놓여 있다.

조정대신들이 열같은 성화와 앞으로의 왕권을 굳건히 하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는 일이지만

죽이고 싶지 않은 마음에 자신의 지금의 위치를 돌아보고 앞으로를 생각하며 결국은 처단하라 명한다.

그리고 남겨진 화사의 딸 명무는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꿈꾸며 붓과 칼을 함께 쥐려 하는데,,,

 




6년이라는 세월이 지나 드디어 왕의 초상을 그려야하는 경연에 참가하게 되는 명무!

세월이 흐르는 동안 그녀는 칼을 몸에 지니는 법을 터득하고 붓으로 그림을 그리며 왕과 가까워질 기회만을 엿보는데

한번도 실제로 보지 못한 왕이라는 실체에 대해 하나둘 알아가고 왕을 죽이기 위해서

또 진정한 왕의 초상을 그리기 위해서는 왕의 몸을 알아야한다는 사실에 집중하게 된다.

 

방원이 왕이 되기 위해 피를 뿌리고 수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 넣었다는 사실을 괴로워하면서도

조선이라는 나라를 굳건히 세우기 위해서는 옳은 일이었음을 스스로 합리화 하려 애쓰는 모습들이

참 인간적으로 다가오는 소설이다.

또한 왕에 의해 죽임을 당한 아버지의 복수를 꿈꾸지만

왕의 실체를 알게 되면서 심리적 변화를 겪게 되는 명무의 이야기 또한 참 여러가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

왕의 초상을 그리는 어진화사의 이야기 또한 세밀하게 묘사되고 있어 이야기에 흥미를 더하고 있다.


원수지간이지만 부지불식간에 운명이되어 서로에게 이끌리듯 그렇게 만나게 되는 방원과 명무!

두 사람이 만나는 그 순간에는 왕이고 복수고 그런것들은 아무것도 아닌것을!

왕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복수의 칼날은 어디에 둔지 잊어버린채 왕의 몸만을 원하게 된 명무와

여인의 실체를 알지 못한채 소녀같은 순수함에 빠져들어 그 순간만큼은 자신도 순수해지고 싶은 왕의 이야기가

참으로 아름답게 여겨지기까지 한다.

하지만 서로가 서로의 진실을 알게 돈 그 순간, 운명의 수레바퀴는 그들을 벼랑끝으로 내몰게 되는데,,,

 




2013년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 소설은 문체나 문장들이 예사롭지 않게 다가온다 .

또한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그 너머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어 꽤나 흥미롭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