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콜드 머시 톰슨 시리즈 1
파트리샤 브릭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시공사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한동안 불멸의 존재로 인간과의 금단의 사랑을 나누어 화제가 되었던 뱀파이어의 영화나 소설이 무척 흥미롭게 다가왔었다. 이 책은 그런 뱀파이어를 위시해 늑대인간과 우리가 흔히 말하는 요정, 그리고 여주인공 코요테가 인간 세상 속에서 인간처럼 살아가는 이야기를 스릴있고 흥미롭게 풀어내는 소설이다. 주로 산문체로 쓰여진 글이 자못 진지함을 느끼게 하지만 때로는 너무 많은 설명이 지루함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끝까지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하는 흥미진진한 소설이다. 


여주인공 머시는 참 독특한 캐릭터다. 늑대보다는 약하지만 그보다는 빠르다고 자부하는 코요테이면서 여자의 몸이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기를 살려 인간 세계에서 정비공으로 살아간다. 주인공들의 대부분이 그러하듯 머시 또한 그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으면서 늑대인간과도 뱀파이어와도 요정과도 가까이 지내면서 어쩐지 그들에게 있어 중립적인 존재로 그들과 서로 친분을 쌓고 있다. 서로가 으르렁 댈 수 밖에 없는 위험스럽기 짝이 없는 그들이 머시와 연관이 되면 어쩐지 한걸음씩 물러나 어느정도 거리를 유지하게 하는 알 수 없는 힘을 가지고 있다. 


어느날 배고픈 한 어린 소년이 머시를 찾아와 일을 하게 해 달라고 한다. 머시는 코요테이다 보니 인간보다 뛰어난 청각과 후각, 그리고 시각을 가지고 있어 금방 이 어린 소년이 갓 변신한 늑대소년이라는 사실을 캐치하고 모성본능에 의해 그를 보호하고 싶어 한다. 그런데 이 구역 늑대인간의 소속이 아닌 낯선 이들의 방문을 받게 되고 그들중 위험해 보이는 한 늑대인간을 죽이게 되면서 머시에게 어둠의 그림자가 점점 드리우게 된다. 자신이 보호하고자 했던 소년이 죽게 되자 이구역 늑대인간들의 알파인 아담을 이웃하고 있던 머시는 아담을 이 사건에 끌어들이게 되고 그로인해 아담의 사랑하는 딸 제시를 납치당하는가하면 아담마저 죽을 위기에 처하자 자신이 어린시절 머물렀던 늑대인간의 무리속에 되돌아가 도움을 청하게 된다. 


이야기는 점 점 더 그들을 궁지속으로 빠트리는 가운데 우리는 내내 궁금했던 머시의 늑대인간과 함께 자라났던 어린 시절이라던지 첫사랑 이야기와 그곳을 떠나와야 했던 이유에 대해 듣게 된다. 자신을 무리속에 끼워주었던 또 다른 알파인 브랜을 다시 만나 전후사정을 이야기하고 아담을 치유하는데 온힘을 기울이면서 납치당한 제시를 찾는데 촉각을 곤두 세우던 어느날 늑대를 마취시킬 수 있는 도구를 만들어낸 이들을 찾기 위해 뱀파이어 친구와 요정계의 여왕을 찾아가게 되지만 그곳에서도 알수 없는 마법에 의해 또 한번 위기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그들의 마법이 머시에게는 통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요정은 머시라는 존재에 대해 의미심장한 이야기를 남긴다.


어쩌다보니 머시는 첫사랑 사무엘과 다시 만나 서로 티격태격하기도 하고 이웃집 늑대인간의 알파인 아담에게 보호받기도 하지만 정비소의 옛주인인 요정 지에게서 마법의 검을 선물받기도 하고 뱀파이어 친구 스테판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정보를 알아 내기도 한다. 아무도 머시가 그들의 싸움에 끼어들지 않기를 희망하지만 그냥 가만히 온실의 화초처럼 보호받고 싶어하지 않는 머시는 호기심을 이기지 못해 그들속에 끼어 드는 일을 망설이지 않는다. 여러가지 정황만으로 사건을 나름 추리해 내는가 하면 가만히 구경만 하지 않고 당당히 나서서 제 몫을 다하는 참 멋진 여자다. 그러니 어느 누구든 사랑하지 않을수 있을까? 


인간 세상속에 스며들어 살아가면서 그들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고 살아가는 요정, 뱀파이어, 늑대인간과 코요테라니 혹 내 주위에도 나는 모르는 이런 존재들이 진짜 살고 있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흥미진진한 소설이다. 또한 우리가늑대에게 물리면 늑대가 된다느니 보름달이 뜨면 늑대로 변한다느니 하는 뻔하게 알고 있는 상식들을 뒤집는 이야깃거리가 약간의 지루함을 덜어주기도 한다. 그런데 한가지 머시의 로맨스는 좀 알송달송한 면이 있어 다음편의 이야기를 지켜봐야할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