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황후
조정우 지음 / 북카라반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황후, 그녀는 도대체 어떤 인물이었기에 요즘 갑작스레 드라마와 책으로 떠들석한것일까? 듣자하니 고려의 여인으로 공녀로 차출되어 원나라로 끌려가 원나라의 황후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고려의 여인이, 그것두 한낱 공녀의 신분이었던 여인이 어떻게 여자로써는 최고의 위치인 황후가 될수 있었는지 가늠하기가 그리 쉽지만은 않은데 많지도 않은 역사적 자료만 가지고 한 여인의 삶을 추측해서 이야기를 풀어 내는 작가들의 상상력이 참으로 놀랍기만 하다.

 

오라비들의 틈속에 자란 기완자는 여인의 몸이지만 격구를 좋아해 시합에서도 뭍 사내들 못지 않은 실력을 뽐내곤한다. 그러던 어느날 기완자는 격구시합에서 실력을 겨루던 용맹스러운 최영에게 첫눈에 반해 자신의 운명의 상대임을 직감하고 혼인하고자 하지만 신분과 집안의 형편이 너무 부족하다 여긴 최영은 이를 거절한다. 그러다 기완자가 공녀로 차출되어 잡혀갈 위기에 처하게 되자 두 사람은 급히 혼인하기로 하지만 최영이 자신의 여동생을 구하러 간 사이 운명의 수레 바퀴는 이미 저만치 굴러가고 만다.  

 

뒤늦게 기완자의 집안 사람들 뿐 아니라 최영과 기완자를 사모하던 이들까지 합세해 원나라로 끌려가는 기완자를 구하려 애써 보지만 원나라의 막강한 군사력과 무기 앞에 그만 굴복당하고 만다. 그렇게 원나라로 가게 된 기황후는 아직 어리고 힘없는 원나라 황제 토곤의 차시중을 들다 그의 눈에 들게 되는데 부모를 잃고 언제 죽임을 당할지 모를 불안함과 외로움에 슬퍼하는 황제 토곤을 안쓰럽게 여겨 그 곁을 지키게 된다. 그리고 또 한사람, 기완자를 잊지 못해 고려땅을 떠나 남자로써의 소중한 것을 버리고 환관이 되어서라도 그 곁에 머물고자 한 최불화가 그녀 곁에 머물게 된다.

 

늘 고향을 그리워하고 자신의 정혼자였던 최영을 그리워하지만 이제는 원나라 황제의 사람이 되어 그만 모든것을 잊고 살아야한다는 사실에 늘 눈물이 마를 날이 없는 기완자. 하지만 천상의 선녀보다도 더 아리따운 외모로 인해 여러 남자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어 기완자의 주변에는 늘 그녀를 지켜주려 하는 남자들이 머물러 있다. 최영 또한 자신의 정혼자인 기낭자를 지키지 못했다는 자책으로 결혼도 하지 않은채 늘 혼자 살아가면서 그 주변을 맴돌지만 서로의 신분과 사정이 너무도 달라 우연한 만남에서조차 그리움을 표하지 못한다. 기완자와 최영 두사람의 맺어지지 못한 인연의 끈이 늘 끊어질듯 아슬아슬해 보여 참 안타깝기 그지 없다.

 

원나라 황제의 총애를 받던 기완자는 온갖 수모를 다 겪게 되지만 자신의 총명함으로 황제 토곤의 권력을 키우는데 한몫 하면서 결국 황후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된다. 하지만 자신의 가문이 고려에서 반역을 도모했다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멸문지하의 지경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알고 보복하려 하기도 하는등 오해로 인해 고려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한다. 하지만 아들을 낳고 어미가 되어 그 아들을 황제의 자리에 앉히고자 하는 열망으로 고향땅과 정혼자에 대한 그리움에 사무친 마음을 끝내 드러내지 않고 여장부로써의 기개를 펼치게 된다. 그리고 결국 생을 마감한 후에야 그녀는 고향땅에 묻힐수 있게 된다.

 

기황후의 이야기속에는 원의 속국으로 힘없이 살아야했던 고려왕의 비통함과 황제를 두고 온갖 권력 다툼이 난무하던 원나라의 실정이 생생하게 그려지고 있다. 아무런 힘이 없어 자신의 백성을 공녀로 바쳐야했던 고려왕의 무력함이 너무도 안타까웠으며 기황후 이야기의 주무대가 먼 이국땅 원나라이다 보니 사람들의 이름이 너무 낯설고 어려워 쉬이 다가오지를 않았다. 하지만 기완자가 황후가 되고 공녀 선발을 중단시키고 고려 여인의 복색이 유행하게 되는등 그녀의 위세가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주는 이야기는 같은 여인으로서 참으로 감탄하지 않을 수 없는 이야기인건 사실이다. 우리가 너무도 잘 아는 인물인 최영장군이나 공민왕과 노국공주, 그리고 이성계가 등장하니 왠지 반가운 마음이 앞서기도 했던 참 흥미로운 소설 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