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 제주도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6편을 읽고 신랑이랑 나는 그의 이야기에 심취해 선운사를 찾은 적이 있다. 그때 우리는 그 책을 들고 그가 들려준 이야기를 하나하나 다시 읽어 보며 다녔더랬는데 비단 우리만 그랬던것이 아니라 그 책을 들고 다니는 사람을 여럿 보았다. 또 선암사 자락 아래 식당에 들러 한상 그득 차린 식탁에 앉았을때 그 책을 본 식당 아주머님은 자기도 한번 읽어보겠다며 빌려가시기까지 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언젠가는 유홍준 교수와 함께하는 부여답사와 함께 그의 제2의 고향 반교리를 방만했던 적도 있는데 그는 정말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의 일부가 되어 살아가고 싶어 하는 그런 사람이었으며 부여답사에서도 많은 말을 하기보다는 많이 보고 느끼라고 강조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이번 이 제주편의 책 또한 6편의 책과 다르지 않게 풍부한 사진을 실어 제주의 삶과 역사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문화유적에 대한 유래와 지금의 형편과 솔직한 감상과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기까지의 에피소드들을 아주 소상히 적어 놓고 있어 역시 우리나라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느끼게 하며 흥미진진하게 읽어내려 가게 만든다. 그리고 또한 이미 서너번 다녀왔던 제주지만 내가 정말 제주의 참모습을 하나도 모르고 수박 겉핥기만 하다가 왔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 내가 알던 그 제주와는 전혀 새로운 답사 여정에 따라 새로운 제주여행 코스를 만들게 한다. 조만간 나는 또 다시 이책을 들고 그가 직접 발로 걸었던 책속의 여정을 뒤따라 밟게 될지도 모르겠다.


책을 펴내며 유홍준 그는 '제주 허씨를 위한 제주학 안내서'라는 소제목으로 제주 이야기를 한권의 책으로 펴내기까지의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왜 해필 제주허씨인가 하는 의문을 가졌었는데 그것은 다름아닌 제주를 찾는 사람들이 렌트하는 차에 붙은 자동차번호판의 첫글자 '허'를 따서 육지의 관광객을 위해 쓰게 된 제주도 안내서이기 때문이란다.


우선 첫 답사지인 와흘 본향당으로 가는 길에서부터 나는 그만 말문이 막히고 말았다. 그래도 제주를 서너번은 간거 같은데 나는 정말 제주의 건강미가 넘치고 탱탱해 보이는 가로수 나무에 감탄하기만 했을뿐 그것이 무슨 나무인지도 모르고 지나쳐 왔는데 비해 유홍준은 그 나무가 바로 구실잣밤나무이며 그것이 엉뚱한 이유로 담팔수 나무로 바뀐것에 대해 안타까움까지 이야기 하고 있다. 역시 나무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은 뭔가 달라도 다르단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삼촌이란 단어란 제주인들에게는 가족이 아닌 남을 부를때의 호칭이라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그래서 비록 그 사람이 여자일지라도 삼촌이라 불린다는 사실이 참 낯설기는 하지만 제주인들만의 문화를 이해하게 된달까?


육지의 봉수대 역할을 했던 조천의 제 1경관인 조천 연대와 연북정, 현기영의 소설의 [순이 삼촌]의 배경이 되었다는 4.3사건의 아픈 과거 역사를 지닌 현장이었던 너분순이를 이야기할때는 한편의 드라마를 보는듯 그렇게 생동감 있게 이야기를 전하고 있으며 제주도의 곳곳에 그흔적이 남아 아직도 제주 사람들을 마음 아프게 하는 생뚱맞은 위령비의 모습에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한다. 선문대 할망과 강요배의 그림 이야기를 하면서 제주섬의 상징인 오름에 대해 이야기 할때는 나는 다시 한번 제주의 진면목을 만나지 못했다는 사실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오름의 여왕이란 별명이 붙은 다랑쉬오름, 용눈이 오름과 아부오름 등 저자가 들려준 오름을 반드시 찾아가 이번엔 제대로 제주의 진면목을 마주해야겠다는 결심을 한다.


그리고 이 책의 가장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도 있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 된 제주도의 이야기는 그야말로 박진감이 넘친다고 해야겠다. 설악산이 민간인들의 반대로 인해 세계자연유산등재 자격을 영원히 박탈당한 반면 제주도의 경우는 도민뿐 아니라 국내외 관광객들까지 동참해 유네스코에 등재시킨 유일한 경우로 극과극의 세계 유산 홍보사례를 남겼다는 이야기가 흥미진진하다.


제주의 동서남북을 통틀어 제주만이 가지고 있는 자연, 역사, 민속, 언어, 미술등을 아우르며 제주의 삼다(돌,바람,여자), 삼무(도둑,거지,대문), 삼보(자연,민속,언어)를 하나하나 속속들이 담아 놓으려 애썼으며 독자들로 하여금 제주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특히나 답사를 다니다보면 답사지를 함께 동행한 아주머니 아저씨 혹은 학생들과의 에피소드들을 들려주는데 그 또한 이 답사기를 읽는 재미중에 하나다. 다른 사람들이 보고 느끼는 것을 나또한 함께 공감할 수 있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도 한다. 그리고 다시 한번 이 책을 들고 제주도 답사를 해야겠다는 결심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