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님전 시공 청소년 문학 50
박상률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마치 흥미진진한 판소리 한판을 듣는듯한 느낌을 주는 문체를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구수한 사투리까지 구사하고 있어 진도개가 유명한 진도가 그 배경이라는 것 또한 실감한다.

책을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자꾸만 판소리를 하려들게 하는 책이기도 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진도개의 사람보다 나은 모습을 여실히 확인하게 되는 책이다.

 

우리는 보통 못난 사람을 개만도 못하다고 말하거나 개팔자가 상팔자라느니

먹을때는 개도 안건드린다는 등등 대화속에 개를 등장시켜 이야기할때가 참 많다 .

그만큼 개와 인간은 옛날 고리쩍부터 뗄래야 뗄 수 없는 그런 사이라는 사실을 알 수 다.

그러데 왜 사람이 개만도 못하다는 소리를 듣는것일까?

그리고 진짜 개팔자가 상팔자인걸까?

 

이 책은 노란 황구 진도개를 통해 진도개의 생활습성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어린 새끼 누렁이와 노랑이에게 쥐잡는 법을 가르치고 어린아기 똥먹는 법과

노루사냥을 가르치면서 절대 사람에게 누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강조하기도 한다.

또한 불에 타죽을 위험에 빠진 주인을 위해 자신의 몸을 적셔 불을 끄는 충성심을 보이는데

그런 개에게 또다시 주인을 위해 목숨을 바치라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정말이지 사람이 개만도 못하다는 말을 들을만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진도개 황구 입장에서 보면 사람들이 하는 개팔자가 상팔자라는 말은 잘못된 말이다.

사람들은 좋은 자리에서 밥을 먹지만 개들은 먹다 남은 찌꺼기나 얻어 먹어야하고

쥐나 잡고 주인 눈치나 살펴야 하는 팔자가 왜 상팔자인지 황구는 이해불가다.

주인 황씨가 어느날 쥐를 잡겠다고 고양이를 데려오지만 도도한 고양이는 제할일은 뒷전인데다

사람들처럼 높은 곳에서 좋은 밥을 얻어 먹고 있으니 황구는 더더욱 그런 생각을 한다.

 

진도개는 영물이어서 사람말을 다 알아듣고 한번 주인은 영원한 주인으로 충성심을 다하는가 하면

집을 멀리 떠나가 그 집을 찾아서 불원천리를 마다하지 않고 찾아온 유명한 백구이야기도 있다.

곶간에 우글거리는 쥐를 잡아 주는 황구가 고마워 식당에도 데려가 국밥을 사주는등

주인 황씨는 남들과 다르게 황구를 가족처럼 끔찍이 아끼고 사랑하기는 했다.

그래서 주인 황씨를 죽을 위기에서 구해주는가 하면 노루를 잡아다 보신을 시켜 주기도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만 세상을 달리하자 가족들은 남들 눈을 무시하고 상복을 입히기까지 한다.

상복 입은 진도개를 퍼뜩 상상하려니 좀 우습기는 하지만 사람보다 낳은 진도개는 그만한 자격은 된다.

 

그치만 황씨가 죽고나니 집안 형편이 너무 어려워 새끼들을 내다 팔아야만 하는 신세가 되고

이제 늙은 황구는 새끼들을 그리워하며 죽을날만 기다리는 신세가 된다.

황구가 주인공이 되어 진도개의 생활상과 사람에 대한 생각을 들려주는 이야기를 보며

개에게 개만도 못하다는 말을 듣고 살지는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또한 개팔자도 알고보면 참으로 기구하기 이를데 없다는 생각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