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을 가져온 아이 문지아이들 85
김려령 지음, 정문주 그림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근이는 지금 산골 할아버지집 창고에 있습니다. 무당집 신딸 다래가 찾은 아주 오래전 할아버지가 만들어 주신 초가집 장난감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초가집은 아주 작은데도 문이 열리기도 하고 방안엔 호박씨만한 호롱불도 있습니다. 호롱불에 불을 붙여 보자는 다래의 말을 듣고 불을 붙이는 순간 창고 흙벽에서 빛이 새어나옵니다. 오래 오래 창고속에서 잊혀져 있던 할아버지의 초가집 장난감 호롱불이 살아났기 때문인지 아이들은 사차원의 문이 열리듯 빛이 새어나오는 벽을 밀고 낯선 세상으로 들어갑니다.

아빠 엄마가 서로를 견디지 못하고 이혼을 하고는 차근이는 엄마와 살면서 방학이면 할아버지가 계시던 아빠네 집으로 갑니다. 할아버지와 아빠는 온갖것들을 발명해내는 재주를 가지고 있습니다. 발명 창고로 쓰시던 그곳으로 들어간 할아버지는 어디론가 사라져버립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찾을 수 없는 할아버지를 그리워하는 차근이의 간절한 바램때문이었는지 차근이가 잊고 있던 할아버지의 오래된 초가집 장난감을 찾을 수 있게 하고 또다른 세상의 문이 열리게 했나봅니다. 그렇게 무당집 신딸 다래와 함께 가게 된 벽너머 그곳에는 기억의 호수가 있고 잊혀진 사람들의 마을이 있습니다.

김려령 작가의 책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을 읽으며 청소년들의 문제를 화끈한 대화체와 그녀만의 독특한 문체로 꼬집어 내어 실감나게 그려내고 있어 흥미로웠습니다. 그렇게 그녀의 또 다른 책으로 집어들게 된 이 책은 그것들과는 달리 약간의 작가의 상상력을 발휘한 환타지한 세계가 배경이 됩니다. 배경속 인물들과 소재는 역시 사람들에게 소외당하고 잊혀지는 것들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는것만은 다르지 않은데 기존의 화끈하고 직설적인 표현과는 달리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장들로 사람들에게 잊혀진 기억이 모여있는 기억의 호수라든지 사람들에게 잊혀져 떠나온 사람들이 사는 마을이라든지로 표현해 내는 작가만의 능력은 참 기발하단 생각이 듭니다.

기억의 호수에는 잊혀진 기억들이 모여 주인이 기억을 떠올리게 되면 펑펑 터지고 가끔은 기억이 주인을 잘못 찾아들어 사람들이 기시감이 들기도 하며 주인을 못잊어 자꾸만 들러붙는 나쁜 기억도 있으며 혹은 구구단을 외우지만 깜빡깜빡 잊게 하는 장난꾸러기 기억등에 대한 이야기는 내 기억에 대한 단면들을 보여주는것만 같아 참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합니다. 게다가 떠나온 이들의 마을은 점 점 사람들의 기억속에 잊혀진 사람들이 모여 있는 마을이라니 혹시 나로 인해 이 마을에 머물게 된 사람은 없을까 하는 마음에 괜시리 마음이 미안해집니다.

따나온 사람들이 사는 마을은 나쁜 기억으로 잊혀진 사람들이 사는 마을과 그래도 좋은 기억을 하진 사람들이 사는 마을이 따로 있어 해가 지고 봉화에 불이 붙으면 한번씩 잔치를 열어 물물 교환을 합니다. 이곳은 하루가 세상의 일년과 같아서 대낮에도 아침 점심 저녁을 먹고 잠을 잡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같은 나이 또래의 친구를 만나기도 하지만 세상에서 받은 상처로 마음을 닫아버려 차근이와 다래를 받아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런 저런 우여곡절끝에 함께 지내면서 마음의 문이 열려 친구들에게 호떡도 만들어 주고 자신이 길러 수확한 땅콩도 보여주면서 친구가 됩니다. 마음속 깊이 너무 큰 상처로 인해 누군가로부터 또다시 상처를 받을까봐 마음의 문을 꽁꽁 닫아두었던 그 아이도 차근이와 다래의 진심을 느끼고 여럿이 함께 해야 더 행복하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마을 잔치가 열리는날 드디어 차근이는 온갖 고장난 물건들을 고쳐주며 강원도 사투리를 구사하는 할아버지를 만나지만 할아버지를 필요로하고 할일이 많은 떠나온 사람들이 사는 마을에서 더 행복하다는 사실을 알고 다래와 함께 다시 자신의 마을로 돌아가기로 합니다. 그렇게 돌아오고보니 어느새 방학이 끝나버렸습니다. 하지만 차근이에게는 정말 잊을 수 없는 방학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소설속 무당집 신딸 다래는 현실과 벽너머 잊혀진 사람들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빠를 만나러 온 차근이가 외롭지 않게 친구가 되어주기도 하고 또 신딸의 영험한 기운으로 벽너머 세계로 차근이를 이끌고 가기도 하며 떠나온 마을에서 자신에게 내려질 신을 봉화속에 묻어두고 평범한 아이로 돌아오게 됩니다. 어쩌면 우리의 삶속에는 우리가 힘들고 외로울때 설명하기 어려운 다래와 같은 존재가 나를 지켜주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그래서 잘 깨닫지 못하지만 내게 힘을 주는 이웃이나 친구나 가족들이 바로 그런 존재가 아닐까 하는 마음에 소중함을 느낍니다.

우리가 잊고 사는 기억들, 그리고 우리가 잊고 사는 가족이나 친척이나 이웃들이 홀로 방황하며 외롭게 떠돌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 마음이 참 아픕니다.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고 찾아준다면 떠나온 사람들의 마을엔 더이상 외로운 사람들이 모여들지 않을듯 합니다. 그곳의 차근이의 할아버지는 차근이가 내내 기억하는한 오래 오래 행복하게 살수 있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