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에 이상한 친구가 전학 왔어요 아이세움 그림책 저학년 38
데이비드 매킨토쉬 글.그림, 최지현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학교에 새로운 친구가 전학을 오면 왜 그 친구와 잘 어울리기보다 자꾸만 관찰하려 드는걸까?
전학을 여러번 한 경험이 있는 나는 괴로웠던 기억이 나서 책을 더 유심히 살피게 된다.




마샬 암스트롱이란 친구가 새로 전학을 왔는데 적응하는 며칠 동안 앞자리에 앉아야 한단다.
옆자리 짝궁이 되어야하는 나는 벌써부터 경계의 눈초리로 자꾸만 친구를 관찰하게 된다.
왜 그냥 단순히 친구란 생각으로 대하지 않고 전학온 친구에 대해서 경계를 하게 되는걸까?





왠지 모르게 과학자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외모에 걸맞게 책상도 무척이나 과학자스럽다.
반면 짝궁의 책상은 공책과 연필 한자루뿐, 무척이나 대조되는 책상부터 벌써 맘에 안든다.
그러니 짝궁이 이쁘게 보일리가 없다.





갈색 피부의 튼실한 자신의 팔뚝과는 마샬은 너무나 다른 하얀피부에 모기가 문 자국만 잔뜩이고
점심시간 또한 마샬은 친구들과는 달리 은박지에 싼 우주음식 같은 것을 꺼내어 먹는다.
그러니 또 아이들의 눈에는 얼마나 외계인스러워 보였을까?





그뿐 아니라 체육시간엔 한쪽에 혼자 앉아 책을 읽고 밖에선 항상 모자를 쓰고
더우기 마샬의 집엔 티비가 없고 신문 보기를 좋아한단다.
보통의 아이들이라면 정말 이해하지 못할 이상한 전학생이 맞는것도 같다.
하지만 뭔가 남들처럼 생활하지 못하는 이유를 가지고 있는 친구가 아닐까?





어느날 마샬이 생일을 맞아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지만 짝궁은 정말 재미없을거 같아 미리 걱정을 한다.
그런데 왠걸? 어찌된 일인지 마샬의 집에서 노는일은 보통의 놀이공원에서 노는것보다도 더 재미나다.
마샬아빠의 기찻길 세트를 다시 만들고 자전거 페달을 돌려 전구에 불을 켜고 배드민턴 채로 박을 터뜨리고
진짜 레몬으로 만든 레모네이드와 유기농 재료로 만든 케익이랑 핫도그와 당근컵케익을 먹으며 논다.
집으로 돌아갈땐 선물까지 주는 마샬은 알고보니 이상한 친구가 아닌 정말 특별한 친구였던 것!
아마 이쯤 되어서야 친구들은 마샬의 생활을 조금 이해하게 되었을듯 하다.





그리고 또 새로운 친구가 두려운 얼굴로 전학을 오지만 이제는 그 친구가 괜히 특별해 보여
시키지도  않았는데도 친구가 적응할때까지 며칠동안 앞자리에 같이 앉겠다고 선뜻 말한다.

우리는 각자 모두 자신만의 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다 다를수밖에 없다. 
그래서  첫인상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게 된다면 친구가 되기가 참 힘들고 어렵다.
전학생이라고 하면 가지게 되는 선입견을 버리고 보통의 친구로 받아들여 준다면
누구나 금방 좋은 친구가 될 수 있으며 그 친구에게 특별한 무언가를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새로 전학온 친구의 이름이 벨이라니 왠지 전화기와 관련된 일을 하는 집안일거 같은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