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곤소곤 숲 이야기 - 생명이 살아 숨쉬는 녹색 댐 생태동화 3
조임생 지음, 장월궁 그림 / 꿈소담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자연환경의 중요성을 참 많이 듣게 되는거 같다.

나무를 심어야 명태가 돌아온다느니

햄버거 때문에 아마존의 밀림이 사라진다느니

하는 이야기들을 들을때면 그게 나와 그리 가까운 이야기같은 느낌이 들지 않는데

숲속 살아 숨쉬는 생명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 한권의 책은

우리의 삶과 참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것만 같은 느낌으로 가깝게 다가온다.

 

다람쥐에게 먹혀 자신의 명을 다한줄만 알았던 아기도토리나무 한그루!

언제나 숲의 임금이 될 수 있다는 엄마의 한마디를 가슴에 새기고

그것을 믿고 열심히 살아나기 위해 애쓰는 모습은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이건 포기하고 낙담하기보다 희망을 품고 참고 노력한다면

비바람이 불어 온몸에 상처를 입더라도 꿋꿋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아기도토리나무 한그루가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아기다람쥐바비의 이야기를 읽으며 참을성이 많이 부족한 요즘 아이들은

바비가 참 멍청하고 미련하고 바보같다고 여길지도 모를일이다.

지나가다 만나는 모든 동물들에게 인사를 하고 자신을 끈질기게 괴롭히기만하는

청설모 몽구리 형에게 싫은 내색 한번 하지 않는 아기다람쥐 바비!

하지만 결국 바비앞에 눈물을 흘리며 용서를 구하는 청설모몽구리형의 모습을 통해

우리 아이들 또한 남을 배려하고 이해하고 용서할줄 아는 바비가 대견스러워지지 않을까?

 

일벌로 태어나 평생 일만해야하는 꿀벌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본분을 다하는것만이 보람된 일생을 살게 되는것이란 사실을 알게 되고

또한 오목눈이의 뻐꾸기 사랑을 통해 기른정이 얼마나 큰지도

야생화들이 각자의 자랑스러운 점들을 뽐내며 피어나는 이야기를 들으며

길가를 무심코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우리 아이들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숲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아이들은 자연을 어떻게 다루어야할지

조금씩 알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산에 사는 동물들의 겨울 나기를 위해 그들의 먹을거리를 남겨두어야

우리 사람들의 밭에 내려와 피해를 주는 일이 없음을 알수 있을테고

또 나무 한그루 꽃 한송이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관심을 가지게 되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을 읽은 아들과 10문 10답 독후활동을 통해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눈다.


1. 다섯개의 이야기중 가장 재밌었던 이야기는? 

    아기다람쥐 바비

2. 위의 이야기속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아기 다람쥐바비,청설모몽구리,반달곰바오, 노루할아버지,맷돼지들보 등등

3. 위의 인물중 가장 관심이 가는 캐릭터는?

    노루 할아버지

4. 3의 이유는?

    오랫동안 사셔서 많은것을 알고 있기 때문

5. 이 이야기속에서 꼭 기억하고 싶은 문장은?

    싸움이란 서로에게 상처를 남기는 거란다.  --- 노루할아버지P127

6. 주인공과 나의 비슷한점과 다른점 찾기

   비슷한점 --- 남을 잘 이해해준다. 배려심이 있다. 잘 참는다.

   다른점    --- 바비는 인사성이 참 밝다.  나는 의욕이 항상 넘친다.

7. 주인공에게 한마디

   너무 착하기만 하면 안돼. 저번에 청설모몽구리한테 그렇게 괴롭힘을 당하면서 왜 참기만 하느거니?

   그럴땐 누군가에게 도움을 청한다던지 그만하라고 말할 수 있어야지!

8. 이 책에 주는 별점과 그 이유

   별별별반 --- 내게는 약간 수준이 낮은 책인것 같아서, 하지만 자연에 대한 이야기를 잘 만들어서 재밌었기는하다.

9. 이 책을 추천하고 싶은 나이는?

   초등학교2~ 4학년

10.추천의 말

    얘들아.

   이 책을 본다면 너희들이 알고 있는 자연과 한 번 비교해봐,

   그러면 너희가 아는것보다 훨씬 많은 자연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단다.

 



이렇게 책을 읽고 독후활동을 하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게 되면 깊이 있는 책읽기가 되는거 같다.
아이 또한 숲속의 생명의 소리를 그냥 흘려 듣지 않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