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소리 우리 음악 - 김명곤 아저씨가 들려주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세종도서) 상수리 호기심 도서관 9
김명곤 지음, 이인숙 그림 / 상수리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음악 책이라하면 내 생각에도 음악이 들리는 책이었으면 하는데

이 책은 바로 그런 책이라 하겠다.

우리 소리를 담은 씨디가 부록으로 들어 있어

그 씨디를 꽂아두고 우리 전통의 소리를 들으며

악보도 없이 벽화로 음악을 표현한 고대적부터

각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과 악기 혹은 재미나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덧붙여

우리 음악을 읽으니 그 재미가 배가 된다.

 

불교음악이 꽃피었던 통일신라시대 원효대사가

노래로 불교를 전파했다는 이야기를 읽으니

그는 몇백년도 전에 벌써 시대를 앞서가나 사림이란 생각을한다.

우리가 자라면서 노래로 구구단을 외운다던지

100명의 위인을 외우는것처럼 말이다.

 

또한 고대 우리는 굿이라는 어쩌면 지금의 축제와 같은 행사를 통해 음악을 즐길줄 아는

민족이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 지금도 어느 행사이든 꼭 마지막을 사물놀이와 같은 악기를 연주하며

한데 어우러지는 시간을 가지게 되면 하나로 쉽게 뭉치기도 한다는 사실에

음악이란것이 꼭 그 소리를 듣고 부르고 즐기는데만 그치는 것이 아니란 생각도 한다.

 

여하튼 우리가락과 소리를 들으며 우리 음악을 배우게 되어

무척이나 즐거운 시간이 되기도 하는데

사실 우리세대 조차도 우리 음악을 멀리 하고 있으니

앞으로 우리 음악이 우리와 조금더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를 많이 마련하고

우리 음악이 조금 더 아이들에게 재미를 줄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겠다는 생각도 한다.

아이들과 어른들이 세대차를 극복하고 하나로 뭉칠수 잇는 그런 우리 음악을 말이다. 


단 우리 소리의 전곡을 담아내지 못하고 중간에서 끊겨버려 아쉬운맘이 들기는 하지만

우리 소리 우리 가락을 접할 수 있게 해주는 데에 의의를 둔다면 잘 만들어진 책과 부록이라 하겠다.   

그리고 사진이 아닌 그림으로만 만들어진 책이며 작은 네모 칸을 두어 

아이들이 낯설어할 단어들에 대한 풀이를 담고 있어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만든 책이다.  

 


 

 
책을 읽고 독후활동으로 우리 역사별로 음악과 악기에 관한 중요한 내용을 소책자로 만들어 정리해본다.

끈을 달아 책갈피로 끼워두니 아이가 책을 보며 다시 한번 핵심정리를 할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