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1반 34번 - 종잡을 수 없는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을 잡아주는 이야기
언줘 지음, 김하나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가장 먼저 사회 생활을 배우게 되는 학교!
가정에서 엄마 아빠의 보호를 받으며 자라던 아이들이
선생님 아래 친구들과 모여 공동생활을 배워간다는 것이
처음엔 낯설고 어색하고 힘겨울수도 있지만
우리 어른들은 그런 생각보다는 아이가 학교에서 무언가 배우고 익혀
똑똑한 아이로 자라기를 바란다.
 
그런데 이 책은 갓 입학하게 된 아이가 겪는 심리적 갈등과
친구들과 선생님 그리고 부모와 겪는 갈등을
조그맣고 잔잔한 그림을 통해 그 의미를 더욱 강조하고 있는데
글자수는 몇개 안되지만 그림과 함께 우리에게 전해지는 느낌은
그 이상 배가 되는 참으로 놀라운 책이라고 해야겠다.
 
처음 책을 읽으며 이것이 정말 이제 막 초등학교를 입학하는 아이의 이야기가 맞는걸까?
하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되었다.
분명 아직 어리기만한 아이인데 어딘지 너무 어른스러운 그런 느낌을 받아서인듯하다.
몸에 맞지 않는 커다란 교복을 입은 중학생 또래의 아이들 이야기라는 생각이 자꾸 드는데
여기서 의미하는 1학년이란 아마도 사춘기를 접어드는 우리 아이들을 얘기하는듯하다.
 
자신은 학교가 왠지 자신을 틀에 가두는것만 같고
너무 재미없는것들을 강요하기만 하는것 같은 생활이 싫고
남들과 똑같은 모습으로 살아가는것 또한 이해할 수 없을 뿐이다.
그렇지만 조그마하고 살아있는 올챙이 친구를 만나면서
무언가 삶의 의미가 더해지는것만 같고 정말 살아있는 느낌을 받는 부분에서는
아이가 자유롭게 살고 싶은 마음을 절실히 담아내고 있다.
그리고 아이가 학교라는 틀에 갇혀 있다는 생각만으로
친구와도 어울리지 못하고 선생님과도 좋지 못한 관계를 가지며
또한 부모와도 갈등을 겪게되는 부분에서는
나 또한 우리 아이들의 날이 선 마음을 어루만져주기보다
그런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탓하기만 했지 않나 반성하게 된다.
아주 작은 올챙이가 커다란 개구리가 되어 아이를 테우고 날아가는 장면에서는
이 이야기의 모든 갈등이 해소되는 느낌을 전해주는데
성장기에 겪는 고통이 큰만큼 우리 아이들이 더 크게 자랄 수 있음을 보여주는것만 같다.
 
성장기의 고통을 겪고 있는 우리 아이들을 잘 보듬어 주고
토닥여주고 꼭 안아줄 수 있는 우리 어른들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