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러브 메타포 8
엘렌 위트링거 지음, 김율희 옮김 / 메타포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책은 읽은지 좀 되었는데 정리가 쉽게 되지 않는다.
주인공 존이 1인잡지를 통해 마리솔과 만나고
만남과 함께 인정하려 하지 않지만 사랑은 시작되고
그것을 서로 알고 있지만 모른척하고
그것이 확인 되는 순간 그만두려하는
정말 힘든 사랑이다.
그냥 사랑하면 안되나?

성의 정체성?
마리솔은 동성애자란다.
아니 그렇게 믿고 싶은
지금 이 아이들은 그런 사랑의 성장통을 겪는 이야기다.
외모의 변화로 육체적인 성장통이 채 가시기도 전에
원하지 않지만 가장 먼저 찾아오는 첫사랑의 감정!
사랑이란 것에 처음으로 발을 들여 놓고 사랑을 하려하는데
왜 그 사랑은 사랑이 아니라고 하고 힘겹게 하는 것일까?
이루어지지 않는 첫사랑이어서?

마리솔이란 여자아이는 자신의 사랑의 대상을 동성에서 찾으려 하고
그렇게 자신은 동성애자라고 표명하고 드러내기를 꺼려하지 않는다.
그런 사실을 알고 있는 존이지만 1인잡지의 그녀의 글을 읽고
자신이 만든 1인잡지도 그녀가 보아주기를 바라며 그녀를 기다린다.
그렇게 그들의 만남은 시작되는데 이것이 첫사랑의 시작인줄은 누구도 알지 못했다.
그러나 점점 둘의 만남이 잦아지고 댄스파티에 마리솔을 파트너로 초대하면서
그가 그녀를 사랑하고 있음을 알게 되고 그만 그것을 표현하고 만다.
그녀는 동성애자인데 말이다.

그렇게 마리솔 그녀는 자신이 동성애자라고 밝혔는데도
자신을 사랑하는 존에게 화를 낸다.
마리솔은 받아들일 수 없는 존의 사랑을 다시 한번 확인 시켜 주고자
1인잡지인들의 모임에 가기로 한다. 그 핑계로 둘다 가출을 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그곳에서도 그들은 서로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뿐이다.
어쨌거나 자신의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을 찾고 싶은 마리솔은 드디어 탈출구를 찾았고
이혼한 엄마가 언젠가부터 자신을 아빠와 동일시해 자신을 만지기 조차 싫어한다고 생각했던 존은
엄마의 힘든 사랑을 받아들이고 집으로 돌아가기로 마음 먹는다.

어찌보면 부모 입장에서는 존처럼 비록 가출을 하더라도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를 결심한 존이 더 바람직하다고 느낄것이다.
사랑도 힘든 사랑이겠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삶도 참 힘든 삶이다.
사랑도 인생자체도 어떤것이 정답이라고 말 할 수 없는
그래서 힘든 삶이고 사랑이지만 내가 살아내는 삶이며 사랑은 사랑이다.

하지만 존이, 마리솔이 참 안쓰럽다.
존의 친구 브라이언처럼 그져 평범한 생각을 하고 평범한 사랑을 하고
평범한 보통 사람의 삶을 살 수는 없을까?
그러면서 아름다운 사랑을 하기를 바라는 것은 욕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