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재상 이야기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 2
박윤규 지음 / 보물창고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는 첫번째 책인 첫임금 이야기로 후한 점수를 받았다. 그리고 이 명재상 이야기는 그보다 더 후한 점수를 주고 싶다.
한나라의 임금은 하늘이 내리는 것이라면 그 임금을 도와 나라를 일으키는 재상은 땅이 내는 것일까?
재상이란 그 한자의 뜻을 풀자면 '고기를 나누어 주는 소경의 지팡이 같은 사람'이란 뜻으로 먼옛날 하늘에 제를 올리고 고기를 나누어 주던 제사장의 역할을 맡은 인물로 결국 백성을 잘 먹여 살리고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관리라는 말이란다.

재상은 시대에 따라 명칭이 달랐는데 국상, 대대로, 막리지, 좌평, 문하시중, 정승, 총리대신에 이어 지금은 국무총리의 호칭이 바로 그것이다.
최초의 국상 명림답부의 이야기는 나도 알지 못했던 내용이어서 참 흥미로웠는데 이렇듯 역사에 문외한인 내게 이 책은 대화체의 문체로 아빠의 다정한 목소리를 내어 여러 시대의 재상들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또한 곳곳에 역사적 서책을 근거로 출처를 밝혀 실어준 역사책의 내용들은 이야기를 더 실감나게하고 믿음을 가게 하는데 한편의 대하역사드라마를 보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백살의 늙은 나이에도 군사를 일으켰던 명림답부, 흉년에 고통받는 백성을 구하기 위해 진대법을 만들어낸 을파소,자신을 깨우쳐준 스승을 잊지 않았던 거칠부, 죽음을 무릅쓰고 충언을 다한 성충,자신에게 활을쏜 자를 두둔한 배초 큰 김양,유교경전의 가르침을 부흥시킨 최승로, 삼국사기라는 최초의 역사책을 펴낸 김부식,무신임에도 불구하고 문신들에게도 문을 열거 열린 정치를 폈던 최충헌,죽어서도 후세에 길이 남을 절개를 지닌 정몽주, 집안 하인에서부터 아들과 나라의 대신에 이르기까지 두루 품에 안아 올바른 길로 인도했던 황희정승, 죽은 후에도  백성들의 인정을 받은 유성룡, 어려운길은 쉽게 돌아 가기를 주저하지 않았던 최명길, 조선의 마지막 영의정이자 첫번째 총리로 자신의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김홍집!

사실 첫임금이야기보다도 책의 두께가 만만치 않지만 첫이야기가 너무 재미났던 관계로 그리 부담없이 책을 읽어서일까? 어느새 반절을 뚝딱 해 치우고 나머지 반절은 저절로 읽혀졌다. 이렇게 역사적 인물들을 돌이켜 보는 일이 참으로 흥미롭고 구미가 당기는 것임에 새삼 놀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