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속의 거울 메타포 1
미하엘 엔데 지음, 에드가 엔데 그림, 이병서 옮김 / 메타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미하엘 엔데의 책이라 하여 무척 반가운 맘에 한달음에 책을 집어 들었다. 물론 책 겉표지의 노란색이 더 강렬하게 나를 유혹하기도 했다.
참으로 독특한 삽화는 미하엘 엔데의 아버지 그림이란다. 예전에 무슨 팝송도 이미 죽은 아버지의 노래에 딸이 함게 불러 인기를 불러 일으키기도 했던듯한데...

처음 출발은 그랬다. 도로시가 오즈로 가기위해 노란길을 따라가듯 그렇게  따라가기만 하면 되는줄 알았다. 그런데 그 길은 노랗지도 않으며 그냥 따라가기만 하면 되는것도 아니었다.  제목이 그냥 아무렇게나 지어진게 아니란 생각을 한다. 거울속의 거울!  정말이지 미로같기만 하고 수수께끼 같기만한 맞은편 거울속의 모습을 들여다 보듯이 그렇게 그 깊이를 알기 어렵고 어느것인 진짜 내모습인지 모르게 빠져들어 버리듯 그렇게 미로속에 빠지게 되었다. 길을 잘못 들어선걸가?

'내가 말을 걸고 있는 너'란 단어 하나만으로도 한참을 맴돌아야했다. 말하는 자신이 말하는데 언제 듣게 되는지 모른다니... 또 결혼하기 위해 자신의 임무를 다하려 애쓰지만 결국 알고 보니 순종하지 않는것이 임무였다는 아이러니한 이야기도 그리고 한창 공부에 빠져 있던 학생이 꼭 꿈을 꾸듯 그렇게 어느 순간을 지나 다시 공부에 빠져드는 이야기 등등...
어느순간 나는 그냥 책장을 넘기고 있다.

발상의 전환이란 이럴때 필요한게 아닐까? 그렇게  나는 도중에 그만 역자의 후기를 들여다 보았다. 사실 이 후기는 책을 다 읽고 난 후에도 어지간해서 들여다 보는 일이 별루 없는데 이번엔 이래야만했다.
역자는 말한다.

<한 마디로 이 작품은 서른 개의 큰 조각으로 이루어낸 '퍼즐'이면서, 문장 하나, 단어 하나가 모두 작은 퍼즐 조각이 되는  '입체적 퍼즐'이다. 중요한건 이 퍼즐로 만들어지는 그림이 단 하나가 아니라 서른 개 조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 만큼 된다는 것이다. ...중략... 아, 그런데 정말 난 이 [거울속의 거울]이라는 '미로'에서 빠져나온 것일까? 어림없는 소리! 난 이제 더 크고 복잡한 미하엘 엔데라는 '미로'에 빠져 버렸다. >

퍼즐? 그것도 입체퍼즐? 그럼 퍼즐 맞추기를 생각하자! 퍼즐은 무조건 맞춘다고 되는것이 아니다. 일단 가장 자리를 먼저 맞추는 것이 제일 쉬우며 그리고 같은 색의 그림을 맞추어 나가야한다. 그래 작가가 이야기 하는 26개의 가장자리 조각부터 맞춰 나가야겠다. 역자는 알파벳 순서에 맞추어 짧은 이야기와 함께 미하엘 엔데글의 번호를 일러주는데 그것에 맞추어 읽기를 하니 참으로 색다른 재미에 빠지게 된다. 이런류의 초현실적인 이야기는 사실 재미가 클듯하지만 그의 글은 재미보다는 더 많은  심오한 것들을 담고 있다.

그렇게 시작한 퍼즐 맞추기가 이제 중반에 접어들었다. 미하엘 엔데의 이야기속에 점점 빠져 들지만 '이 작품에서 차례'는 별 의미가 없다! 어디서부터 읽어도 작품은 제자리로 돌아온다.' 역자의 말이 틀림이 없다. 소가 되새김질을 하듯 다시 생각해야하고 다시 곱씹어 읽어야할만큼 그의 글은 참으로 맞추기 어려운 퍼즐이다. 하지만 그의 글을 붙잡고 늘어지다가 내려야할 지하철정거장을 놓쳐버릴만큼 집착하게 되는건 사실이다. 아직도 책읽기는 진행중에 있다.

이 책은 그 숫자와 함께 글의 시작이 제목이 되는 참으로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속에 들어 앉은 엔데 아버지의 삽화는 엔데의 글만큼 심오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글과 그림이 정말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생각을 문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