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플라톤 국가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4
손영운 지음, 이규환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플라톤 국가!

왠지 이런 제목을 들으면 어렵다란 생각부터 하게 되는데 만화란다.

일단 만화란 단어에 한점 따고 들어간다고 해야할까?

어렵단 생각을 갖고 있다가 만화 플라톤 국가란 말은 한발 앞으로 다가온단 사실!

요즘은 이런 인문 서적 한권쯤 읽어줘야한다는게 대세인데

이렇게 만화로 접하게 되면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을까?

 

철학책이어서일까?

만화캐릭터나 편집 또한 무척 철학적인 이미지를 풍긴다.

우선 플라톤이 자신의 소개를 하고 반갑게 인사한다.

가끔 우스개 소리도 섞어 가며 아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를 해주며

플라톤의 '국가'를소개한다.

그의 스승 소크라테스를 등장시켜 그에게 영향받은 철학적 사고를 풀어 놓는다.

 

그가 말하는 국가는 누구나 똑같이 행복하게 살고

질서와 규칙에 의해 통제 되는 너무도 이상적인 국가이다.

인간이란 자유를 갈망하는 존재로 누구나 똑같은 틀에 넣어

살아가게 한다는건 가능한 일이 아님을 이미 과거의 국가들을 통해 알 수 있으며

그의 국가론은 어느정도 참고가 되고 또 도움이 될뿐이지

그것이 완벽한 국가를 만들지는 못함을 만화속 캐릭터들을 통해 느끼게 된다.

여지까지의 많은 국가들이 많은 철학자들이 그의 이런 철학에 영향을 받는것은

분명 그의 이론에 그만한 영향력이 있기 때문일게다.

 

플라톤의 국가는 한권의 책이 아닌 10권의 책이란다.

것두 한권이 600페이지가 넘는...엄청나다!

비록 한권의 책이지만 아이들이 이 책을 통해 플라톤을 만나고

플라톤이 들려주는 국가란 이야기를 한쪽귀로 듣고 한쪾귀로 흘리더라도

한번쯤은 나도 플라톤의 국가를 읽어 보았다는 자부심을 가질수 있으며

철학으로의 한걸음을 내딛었으니 이제 천천히 걷기만 하면 되는것이다.

 

이런 어려운 인문서적을 만화로 쉽게 느낄 수 있으리란건 착각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거부감을 없애고 한발 더 다가갈 수 있게 만든다고 생각한다면

아이들에게 충분히 점수를 딸 수 있는 책임은 부정할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