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이 된 연어
김숙분 지음, 이상훈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연어!

보통 알고 있는 상식은 강과 바다에서 다 살 수 있는 물고기이며
처음 강에서 나서 바다로 가서 다시 자기가 태어난 곳으로 돌아와
알을 낳고 일생을 마친다는것!
그런데 숲이된다고?
무슨 이야기일까하는 맘에 책을 펼친다.
 
생각처럼 연어에 대해 처음 알에서 깰때부터 바다로 갔다가
다시 자신이 태어난 곳으로 돌아오는 연어의 일생이야기다.
그런데 특이한 것이 갓 태어난 새끼 연어들에게 가문비 나무가 엄마라고 우긴다.
믿기지도 않고 의아한 맘에 책읽기를 계속하게 되는데
가만 보니 가문비 나무가 낮은 온도에서 살아야하는 연어들에게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고 플랑크톤도 배불리 먹을 수있게 해주며
천적으로 부터도 보호받기도 한다.
그래도 엄마는?
 
연어가 알을 까고 세상에 나와 더이상 살아갈 수 없는 물이 되자
시원한 물을 찾아 바닷길을 떠나게 되는데
그런 과정에서 온갖 역경에 부딪히게 되고
그런 역경을 잘 혜쳐나가 연어는 점점 더 강하고 튼튼하게 자란게 된다.
바다에서는 온갖 바다동네 연어 친구들을 만나
커다랗게 무리를 이루어 어느 물고기 보다 큰 물고기가 되기도 하고
자신들보다 나이를 많이 먹은 연어들로부터 돌아갈 때가 있다는 사실도 안다.
그렇게 연곡천 연어 은빛이와 분홍이도 친구들과 다시 연곡천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역시 돌아가는 길도 만만치가 않다.
그러나 그런 역경을 모두 이겨내 드디어 연곡천에 알을 낳게 된다.
그리고 연어는 또 다른 새나 동물들의 먹이가 되고 남겨진 뼈와
동물들의 배설물을 통해 땅속으로 스며들어
가문비 나무를 자라게 하는 거름이 되는것이다.
 
그제야 왜 가문비 나무가 엄마이며 숲이된 연어란 제목을 지었는지를 알게 된다.
이렇게 우리 지구의 자연은 서로가 전혀 다른 존재더라하더라도
결국은 하나로 이어져 있음을 알려 주는 참으로 깊은 뜻을 품고 있는 책이다.
산문형식의 글로 쓰여진 설명문이 조금은 아이들에게 읽기에 힘겨울수도 있지만
연어의 힘겨운 삶을 쫓다보면 아이들도 힘을 입어 더 화이팅하는 생활을 할 수 있게 되리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