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제목 ‘여여한 마음으로‘ 를 읽다가!

왜 우리는 잃고 아프고 죽을고비를 넘겨봐야
비로소 깨닫게 되는걸까?
게다가 그것도 한순간,
금새 또 잊고 마는 아이러니!

행복이 어디에 있는지
세상의 주인이 누구인지를 묻지 않으면
돈이나 집이나 재산을 우선시 여기는...

국어를 새로 배우네.
‘꿈을 좇되‘가 오타인줄 알고 찾아보니
목표 이상 행복따위를 추구할때엔
‘좇다‘라고 한단다.
국어 고수만이 알 수 있다는 이 ‘쫓다‘와 ‘좇다‘
쉽게 구별하려면
발을 움직이는 물리적 이동이 있을때는 ‘쫓다‘
없을때는 ‘좇다‘
우리말인데 생소하고 왜케 생소하고 어려운지...
그냥 한단어로 쓰면 안될까?
어차피 이러나 저러나
같은 단어로 알아듣고 쓰고 있을텐데 말이다.

무튼 김홍신 작가의 글을 읽으며
인생을 배우며 한글도 배우며!



그럼 어떤 사람이 행복한 사람일까요? 행복해지고 싶다면 꿈을좇되 욕심부리지 않고 가진 것을 소중히 여기면 됩니다. 살다 보면 알게 됩니다. 원하는 것이나 갖고 싶은 것은 자꾸 저만치 도망가고, 싫은 것이나 피하고 싶은 것은 자꾸 나를 따라오곤 합니다.
원하는 걸 다 가질 수 없고, 싫은 걸 다 버릴 수 없는 게 인생입니다. 내가 꼭 갖고 싶은 것은 다른 사람도 갖고 싶어 하기에 경쟁이 치열합니다. 싫은 것은 다른 사람도 버리고 싶어 하기에 여차하면 내게 오기 십상입니다.
그럴 땐 괴로움도 즐거움도 흔쾌히 받아들이고 통과시키면 인생은 그럭저럭 살맛납니다. - P75

마음은 결코 절로 생기지 않습니다. 내가 만들어야 합니다. 나를귀하게 만들면 밝은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 P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