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바다로 보림문학선 6
나스 마사모토 지음, 이경옥 옮김 / 보림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의 학창시절에도 그러했지만
청소년이 즐길 문화의 현장이나 문화의 혜택이 너무도 부족하다 여겼는데
그것은 지금도 마찬가지인듯하다.
요즘 아이들에게도 갈곳 마땅치 않고 즐길거리도 별로 없는것을 보니...
그 시기를 거친 우리들은 그런 문제들을 걱정만 할 뿐 딱히 속시원한 대책을 세워주지 못한다.
아니 오히려 아주 어린 아이들의 놀 공간과 놀 시간을 빼앗고 있는것만 같다.
물론 이런 저런 행사의 장이 많아 어찌보면 아이들이 더 많은 체험을 해 볼 수 있는듯도 보이지만 사실 그것두 한두번 가다보면 숙제에 대한 부담으로 아니간만 못하게 되기도한다.
이 책을 접하고 일본의 아이들과 우리의 아이들이 그리 다르지 않다 생각할때
하루 빨리 그 아이들이나 우리 아이들에게 갈 수 있는곳을 만들어 주어야함을 새삼 느낀다.

같은 학원에 다닌다는 공통점과 함께 매립지에 모였다는 이유로 서로 가까운듯 생각하지만 따로따로인 아이들!
학원에서나 학교에서 성적이 좋은 구니토시는 어른 세상에 빠져 아이들과 썩 어울리지 않는 모습이 물에 뜬 기름같다. 완벽해 보이는 집안의 분위기는 두니토시를 폭풍전야가 되게한다.
마사키, 여동생이 천식으로 고생을 하지만 온 가족의 고나심을 독차지 한것만 같아 천식이 아닌 동생이 미운 아이.
사토시, 아빠없이 엄마 혼자 키운 아이란 소릴 듣고 싶지않은 엄마의 바람이
엄마 자신이 타인에게 잘 보이기 위한건 아닐까하는 반항심을 갖는 아이.
이사무, 은행원이 아빠덕에 자주 이사를 다니다보니 이력이 붙어 어딘가로 가지 않으면 그것이 더 서운하기까지 한 아이, 배를 설계하고 만드는데 무척이나 열성을 보인다.
시로, 같은 학원을 다니지 않지만 같은 매립지에서 만난다는 이유 하나로 그냥 자신이 왠지 우쭐해지는듯이 여기는 아이,

그저 멀리 바다를 내다보다 느닷없는 배만들기에 모두가 아무런 반대없이 동의를 하고
아이들의 어딘지 불안한듯한 배만들기는 시작된다.
무언지 아이들 각자 하나씩 가지고 있는 보이지 않는 문제들을 엮어 놓은듯한 어수룩한 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하나씩 고쳐나가며 근사한 배를 만들어 나가기까지
아이들 하나하나의 속마음을 보여주는 글에서는 정말 왠지 모를 서운함이 밀려온다.
어쩜 아이들은 서로 한마음으로 배를 만드는듯하면서 읽는이로 하여금 각자 따로란 생각을 하게하는지...
꽃병에 근사하게 꽂혀있는 꽃이지만 어딘지 어울리지 않는듯한 꽃들처럼...
허술하기 짝이 없는 땟목같은 배를 시작으로 점 점 아이들의 배만들기는
그 횟수를 더하고 점 점 멋드러지게 만들어지는 배만큼이나 아이들의 결속을 다지는듯 보이지만
그 배가 태풍에 휩쓸리고 시로의 죽음을 맞이하면서 함께 산산히 부서져버린다.

교장선생님앞에 불려가 훈계를 듣는 각자의 아이들 마음속을 들여다 보면
정말 어쩜 이리도 매정하고 무심할까싶은 마음이 들정도로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에만 빠져있다.
무엇이 아이들을 이처럼 이기적인 아이들로 만든것일까?
다름 아닌 이사회가 그런것이겠지...
그래서일까? 문득 물에뜬 기름처럼 둥둥 떠서 배만들기보다 자신의 세계에만 빠져있던 구니토시가 다시 그 배를 손보고 정말로 바다로 떠날 준비를 한다.
언제나 불안하던, 금방 펑 터져버릴것만 같은 구니토시의 마음은 아마도 모든 아이들의 마음을 모아놓은것인지도 모른다.
겉으론 아무렇지도 않은듯 대범한듯 태평스러운듯 지켜보기만 하던 구니토시의 마음속에 태풍이 불어닥친것이다. 왜그런지는 모르지만 분명 무언가가 잘못되었으며 이대로는 멀쩡히 살 수 없을거 같은 지금 바로 모든것이 불만인 우리의 아이들의 마음을 대변해서 바다로 떠난건지도 모른다.
그렇게 떠난 구니토시는 망망대해를 항해하며 세상의 모든 풍파를 이겨내고 있겠지?

우리 아이들이 떠날 수 있는 바다란 결국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이다.
질풍노도의 시기에 있는 우리 청소년들이 떠나는 바다로의 항해가 멋진 추억이 되어
멋진 어른으로 자라날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