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참 좋아하는데
시를 읽을때면,
아니 시는 읽는다는 표현이 맞나?
아무튼
그럴때면 안개속을 더듬는것 같고 막연하고
퍼뜩 다가오지 않을때가 있다.
물론 대충 감을 잡아 읽을수는 있지만,
시는 그냥 느끼는 거라지만,
어떨땐 좀 내 부족한 느낌을 채우고
싶을때가 있잖은가!​​

시를 읽고 쓴 리뷰와
시인과의 시에 대한 솔직한 인터뷰가
수다처럼 펼쳐지는 책, 시 인터리뷰!
시에 대한 나와 같은 공감에 반갑기도 하고
전혀 새롭게 알게 된 시인의 이야기에
나도 한자리 슬쩍 끼어보고 싶다는
그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이다.

​<우리가 장미주택을>
-시/김유림
더 이상 쓸 수 없는 이야기라서 괴로운 것도 아니었고슬픈 것도 아니었다 따라가던 길에 장미주택을 보았는데 그것이 이야기로 연결되지 않아서 더 이상 갈 수가 없다 어째서 가로막혔는지 그러나 담장은 길을 따라 서 있고 나는 길을 따라갈 수 있는데 안 가고 있다 안 가는 것만이
가로막히는 것
너무 답답해서 외투를 벗고 땀을 훔쳤다
손에 쥔 것
펼쳐도 움츠러든 것
모양 모양으로 핀 꽃 같은 것 대충
하얀 것 하얗다가 만 것 그래서 자세히 보면
반원 모양의 그릇 모양의 화분에 진녹색 두 줄이 있고
흙이 당연히 빈약한 나무가 당연히 꽂혀 있다
키우는 사람들
키운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그러나 화분의 주인은 여기 어디에도 없다
.......

다소 충격적인 첫번째 시,
어딘지 횡설수설하는것 같은 이런 시라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간은 미스터리한 느낌이
마지막 구절에서 반격을 가한다.
하지만 이 시를 쓴 김유림시인과의 인터뷰가 없어 다소 아쉬움도 남는다.
어쨌거나 인상적인 첫시가 관심끌기 성공!

<브루클린, 맨해튼, 천국으로 가는 다리>
-시/주민현

나의 파이프는 금빛이 나는 칠로 단장되어 있어 
네 가슴팍엔 모형 개구리가 잠들어 있지

파이프를 타고 연기가 오르내릴 때
네가 구두를 신고 내 가슴속으로 들어오는 것처럼,
그때의 찬 바람 냄새

우리에게 아직 이름이 없었을 때
세상을 잠깐 내려다보았다는 건
우리가 꾸며내기 좋아하는 인생의 첫 장면

나는 브루클린 다리 아래서,
너는 맨해튼 다리 아래서
버려진 소파에 앉아본다
푹신한 천사의 코가 스쳐간 것 같아
......

‘우리가 꾸며내기 좋아하는 인생의 첫 장면‘
요 구절을 참 좋게 느끼는건 나만 그런게 아닌듯,
같은 시구를 좋아한다는 사실에 기분이 좋아진다.
한구절 한구절 읽을때마다
무수히 많은 장면을 떠올리게 되는 시!
구두를 신고 가슴속으로 걸어들어온다거나
요약된 문장과 사람들 사이로 눈이 내린다거나
떠난 사람만큼 채워진다는 등의 표현들이
적절하게 전해지는 시구들!

시인이 들려주는 시어에 대한 이야기도
시를 짓는 동기나 기타 다른 에피소드등도
인터뷰어들의 이야기가 무척 흥미롭게 읽히며
시인과 인터뷰를 읽고 시를 다시 읽으니
시가 더 좋아지고 시가 더 더 선명해진다.
아는 만큼 느낌이 달리진다는 사실을 절실하게 깨닫게 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