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저녁 시간,
어디선가 익숙한 목소리가 들려옵니다.
늘 골프 채널만 보는 신랑이 오늘은 좀 색다른 프로를 보고 있네요.
물론 책 읽는것도 좋아해서 주말이면 과학이나 수학 관련 책을 보고는 하는데
나의 서재라는 프로에서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가
책을 소개하고 있더라구요.
언젠가 알쓸신잡에 출연해서 익숙한 김상욱 교수가 인상적으로 만난 시와 문장을 소개합니다.
수학자도 아닌 시인의 시집 제목부터도 독특한데
김상욱 교수가 소개해주는 시와 문장도 비범하네요.

‘같은 장소에 다시 찾아왔지만
같은 시간에 다시 찾아가는 방법은 알지 못했다.‘

시인의 시도 공감을 주지만
김상욱 교수가 같은 시간으로 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바로 그 방법은 음악!
어떤 음악을 들었을때 그 음악을 들었던 그 시간으로 갈 수 있다구요.
건축학개론의 한장면이 떠올라요.

<메타포의 질량>
‘맨 처음 우리는 귀였을것이다.
.....

언젠가 기도인가요?‘

시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메타포 은유!
은유가 가득하지만 그렇다고 전혀 말이 되지 않느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 시인의 시!
김상욱 교수가 그러네요.
매카포가 가득한 시는 말장난 같다고,
언어의 유희가 은유의 유희?

김상욱 교수가 들려주는 이야기가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김소연 시인의 시집과 책이 궁금해지구요.
장바구니에 쏙!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tvn story에서 합니다.

http://naver.me/5KZsoM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