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 여자, 돈, 행복의 삼각관계
리즈 펄 지음, 부희령 옮김 / 여름언덕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란 제목을 보는 순간 예전에 김희애가 나왔던 드라마가 생각났다.
재밌었던 기억은 나는데 그럼 이 책도 재밌을까?
우선 표지를 보니 돈지갑이 보인다.
그것두 동전지갑, 물론 지폐도 꾸겨 넣자면 못 넣을것도 없지만...
옳거니! 돈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는거로군!
그런데 궂이 동전지갑을 책표지에 올려 놓은 이유가 무얼까?
아마도 지갑속에 갇힌 동전들처럼 갇혀있는 여자들의 돈에 관한 이야기가 아닐까?

역시 돈에 관한 이야기다.
그럼 여자는 돈으로 사는가라고 묻는다면 나는 아니라고 답하고 싶다. 내 경우 돈이란 생활 수단일 뿐이지 목적이 되지는 못하므로...
그런데 가만보니 안그런 여자들도 많은듯하다.
사실 멀리 갈 필요도 없이 내 가까이 사는 이웃을 슬쩍 들여다 보아도
매일같이 외출을 하고 매일같이 양손가득히 무언가를 꼭 들고 오지 않으면 안되고
어딜가든 맘에 든 물건은 꼭 사야하고 그리곤 반품하고 교환하고
그렇게 사는 사람도 더러 있더라!
그런 돈을 메꾸기 위해 카드로 현금을 인출하고 또 쓰고 또 인출하고...
정말 같은 여자 입장에서 보아도 답답한 여자는 있다.

이 책에서는 말한다.
여자들이 가진 경제관념이 남자들의 그것과 다르다고 말한다.
하지만 난 그렇게 생각하고 싶지 않다.
단지 사회적으로 아주 오래전부터 남자들이 돈을 벌어오고 여자들이 집안 살림을 해 와서 그런것 뿐이지
그것이 남자여서 더 경제관념이 많고 여자여서 경제관념이 없다고 말 할 수는 없는것 아닐까?
만약 내가 남자로 태어나 남자로 자랐다면 나도 보통의 남자들처럼 되었을것이다.
그러니 그런것은 사람의 생활 습관이나 살아온 방식에 의한 것이라 여겨진다.

이 작가는 이혼과 함께 자신에게 닥친 상황이 경제적인 부분과 맞닥드려 눈 앞이 캄캄하다 보니
더 자신의 그러니까 여자로서 그간 살아오며 가진 경제관념에 대한 회의적인 면을
다른 많은 사람들의 실례를 들어 교훈을 얻고 개선되어지기를 바란다.
그것을 그리 남자 여자로 구분짓기보다는 어떤 경제관을 가지고 살아야 더 잘 살 수 있는지를 얘기해 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요즘은 여자들도 사회 활동이나 경제활동을 왕성히 잘 해내고 있다.
적극적이진 않지만 하다 못해 아르바이트라도 해서 좀더 여유있는 삶을 살고자 한다.
그런면에 있어 돈에 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태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렇지만 여러 사례들을 통해서 내 자신의 모습을 돌이켜 볼 수 있으며
나의 경제관념을 다시 한번 제대로 세울 수 있는 기회는 되겠다.
지갑속에 꽁꽁 갇혀 답답한 동전보다는 적절히 때를 기다리는 행복한 동전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