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만나는 성리학 이황의 성학십도 Easy 고전 9
조남호 지음, 신명환 그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삼성출판사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그림은 그림인데
저, 어제는 성학십도를 보았답니다.
글쎄 그것이 '성인이 되기 위한 열가지 그림'이라해서
그럼 그림공부? 하고 잠시 바보같은 생각을...
그림은 그림인데 나무가 있고 산이 있고 물이흐르는 그런 그림이 아닌 글을 도식화해 놓은 책이었다는...
하하하!

# 천원짜리 계신 이황선생이 궁금해!
그리구 천원짜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또 저의 무식함을 깨우쳐 주었지요!
그래서 우리 아이들에게 큰소리 치며 설명들어갔답니다.
다들 아시죠?
우리 나라 지폐 1000원권에 계시는 가끔 우리의 의지에 따라 울기도 웃기도 하시는 그 퇴계 이황선생님!
그분의 호가 원래는 토계(토기골짜기)였다네요!
그런데 그 음이 변해서 퇴계(退溪)가 되었다는군요!
그리구 그 선생 옆에 투호그림이 있는데 두개는 통속에 한개는 밖에 있답니다. 확인들어 가실거죠?
학문이란 것이 정신 집중이 가장 중요한것인데 아마 한번은 정신집중을 하지 않았나보다고 지은이가 말하네요!^^

뒷편에는 도산서원이 있답니다. 그 현판은 선조의 명을 받고 한호(한석봉)가 썼다는군요!
그리고 그 도산서원 기념관엔 몽당빗자루가 있답니다.
이황은 어려서부터 청소를 열심히 하는 것이 훌륭한 학자의 첫걸음이라 생각했답니다.
그래서 그 이황선생니 쓰시던 빗자루를 잘 모셔둔것이라는데.
지난해 안동에 갔었는데 그곳에 들러 오지 못해 아쉽네요!
아무튼 이  내용이 다 '성학십도'머리말에 들어 있답니다.
이만하면 책 읽고 싶은 맘이 생기죠?

# 퇴계 이황은 노력파
퇴계이황선생은 율곡이이 선생과는 달리 천재적인 학자가 아니라 순전히 노력파였다는것에 더 친근함이 가더군요!
그리고 지극히 평범한 부모에게 효도하고 부인에게 따뜻하고 자식에게 엄격한 사람이었다네요!
그런 평범함이 더 빛을 발하는건 아마도 실천하려고 노력했다는 것이 아닐까요?
이것이 바로 성인의 도가 아닐까 생각이 되는데 그런 그는 자신이 그 성학십도를 지었다고 하지 않고 그저 성인의 글을 기술했을 뿐이라며 겸손의 미덕을 보여 주셨답니다.


# 이황선생은 현대판 공처가? 아니 애처가?
특히 부인의 칠거지악을 들어 아내와 이혼하려는 사람에게 부인에게 잘못이 있다기 보다 남편에게 잘못이 있으니 다시 한번 생각하라고 한 부분에서 정말 감동 받았답니다.
남성권위주위적인 사회에 사시는 그런 분이 어떻게 이처럼 21세기적인 생각을 하실 수 있으신지 지금 살아 계시다면 분명 모든 여성분들의 우상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맘에서 책을 쭈욱 읽어 내려갑니다.


# 성학십도가 메야?
1. 태극도: 세상의 모든 것은 태극의 음양과 오행을 거쳐 인간과 만물이 생겨났다.--- 고전적인 동양사상이죠!
2.서명도:온백성과 만물은 모두가 우주가족! 그러므로 효를 행하는것이 기본이요 실천하는것이 당연^^
3.소학도: 어릴때부터의 몸가짐, 올바른 대인관계, 올바른 인성교육에 관한 이야기!
4.대학도:어른교육용과과서, 생각과 감정의 조절
5.백록동규도:인간관계의 원칙 이론과 그 실천'자신이 바라지 않는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
6.심통성정도:마음을 다스리는 법
7.인설도:인은 끊임 없이 낳고 또 낳는 생명의 마음, 사랑함의 이치가 바로 인(仁)!
8.심학도:마음은 몸을 주재하고 경은 마음을 주재한다.
9.경재잠도: 경건함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례
10.숙흥야매잠도:아침부터 저녁까지 공부하는 경방법 제시!

역시나 그 성학십도의 내용이란게 그리 만만히 볼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지만 여하튼 성인이 되기보다 그저 평범한 사람으로 행복하게 살고 싶은 나 같은 사람에게는 이상일뿐이라는 사실을 새삼 느낍니다.
그래도 실천과 노력을 함께 했다는 이황선생을 본받아 조금씩이라도 실천하려고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었습니다.


# 퇴계 이황선생의 기억에 남는 한마디
"'한결같은 마음을 유지하는것'은 우리가 공부를 하거나 인격을 닦는 데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세상의 이치를 알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행하기가 어려우며, 또 행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참을 쌓아 오래도록 힘쓰기가 더욱 어렵다."


 맞는 말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