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한 스쿨버스 2 - 땅 밑 세계로 들어가다 신기한 스쿨버스 2
조애너 콜 지음, 브루스 디건 그림, 이강환 옮김 / 비룡소 / 1999년 10월
구판절판


아들이 신기한 스쿨버스를 들여다보며 집안 여기 저기 굴러 다니던 돌들을 주워 모은다.
평소에 이상스런 취미가 꼭 어딜 가면 이 돌멩이들을 하나씩 주머니에 담아오는거다.
이런 저런 잔소리를 하다가 나중엔 그냥 놔둬버리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이렇게 유용하게 써먹을 줄이야^^

프리즐 선생님이 친구들에게 돌멩이 하나씩을 가져오라고 하니
저도 덩달아 하나씩 들고 와서는 열심히 책을 들여다 본다.

땅속을 조금 파내려 가면 이런 층층이 쌓인 암석층을 볼 수 있다고 하니
자기도 케익모양의 돌탑을 쌓는다.
사암, 셰일, 석회암,,, 듣기만 해도 참 생소하고 어려운 이름들!
그런건 아무 상관없다. 그냥 재미나게 탑을 쌓는데 열심!
'소원도 빌어 보지?'

도대체 땅속이 어떻게 생겼을거 같냐고 물으니
아마 돌멩이랑 모래랑 바위들로 꽉 차 있을거 같단다.
그리고 아주 아주 차가울거 같다는데
의외로 녹아있는 바위(용암)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고
또 외핵과 내핵이 있어서 그것들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액체와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는 사실에 더 놀란다.
한가지 더! 속으로 들어갈수록 더 뜨거워진다니 믿을 수가 없단다.
무려 6000도시까지 온도가 올라가는데 어찌 금속이 녹지 않고 고체 상태로 있을 수 있을까?
정말 갸우뚱이다.

그리고 책 속에는 또 돌들을 분류해 놓은 것이 나온다.
자기도 그런 분류에 따라 돌을 나누어 본단다.
계란판을 분류판으로 재활용하는 센스는 엄마의 몫!
이리 저리 돌려 가며 암석을 책속의 것들과 비교 관찰하고 있는데
누나가 이미 학교에서 배운 거라며 거들기도 한다.
아무튼 이런 저런 우여곡절끝에 드디어 암석 분류가 끝!
제주도에서 가져온 구멍 뻥뻥 뚫린 돌이 혹시 물에 뜬다는 경석이 아닐까 싶어
아들아이는 화장실에 가지고 들어가 물속에 넣어 보며 실험을 한다.
공기 방울만 뽀르륵 내뿜으며 가라앉는 돌이 경석이 아니라며
실망스런 눈빛으로 나온다.
그래도 재미난지 다른 돌들도 들고 들어갔다 나왔다 한다.
그러면서 손에 돌이 이상하게 만져진단다. 감촉이 다른가?

자신이 생각했던 것과 다른 지구 내부의 모습도
다시한번 확인해 가며 고쳐 그려보기도 한다.
용어가 그리 쉽지 않은지 멘틀이란 단어를 헷갈려 한다.
내핵 외핵이란 말은 다른 책에서도 본거 같다며 기억을 더듬는데
...

이책의 재미난 부분 중에 하나가 바로 이 마지막 페이지다.
독자와 저자와의 대화라는 제목으로
있을 수 없는 일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대목이 너무 재미나다.
어쨌든 아이들이 혼동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한 정보를 재미있게 알려준다.
우리 아들녀석도 그러기를
그렇게 뜨거운데 버스가 어떻게 들어갈 수 있냐고...
'이건 동화란다 아그야!'

그리구 아이들이 하는 이상한 수집에 대해서도 엄마는 인내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뽀송이 2007-01-30 0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___*
어쩜!! 어쩜!!
꽃방님의 이 멋진 독서활동에 박수를...^^
꽃방님의 아이들은 넘 행복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