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표지이전 버전으로 사서 읽었다. 이 표지는 바캉스 에디션?이란다.
내 발로 다녀온 여행은 생생하고 강렬하지만 미처 정리되지 않은 인상으로만 남곤 한다. 일상에서 우리가 느끼는 모호한 감정이 소설 속 심리 묘사를 통해 명확해지듯, 우리의 여행 경험도 타자의 시각과 언어를 통해 명확해지듯, 우리의 여행 경험도 타자의 시각과 언어를 통해 좀더 명료해진다. 세계는 엄연히 저기 있다. 그러나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는가는 전혀 다른 문제다. 세계와 우리 사이에는 그것을 매개할 언어가 필요하다. 내가 내 발로 한 여행만이 진짜 여행이 아닌 이유다. p.117
여행을 다녀와서도 여행책을 기웃거리는 이유, 내가 다녀온 곳이 TV프로그램에 나오면 반가워 다시 보는 이유는... 세계와 우리 사이에 매개할 언어가 필요하기 때문... 내가 내 발로 한 여행만이 진짜 여행이 아니므로 언제나 나는 여행에 대한 책이 그립다. 당분간 여행을 못갈 것 같아 더욱... ㅠㅠ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라는 작가는 신형철의 산문집에서 알게 되었다. 꽤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아직 번역된 책 별로 없어 안타깝다. 집요한 글쓰기의 진수라고 할까... 읽다보면 아.. 너무하다 싶게 집요하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정도의 반열에 올라서야 대가라고 할 수 있나 보다.
근래에 읽은 소설책 중에 재밌었던 책. 이것 역시 신형철의 책에서 알게 되었다. 세 가지 이야기가 조금씩 이어지면서 3부작의 형태로 되어있는데 나는 마지막 이야기가 가슴이 아려왔다. 아내와 사별한 후 피터는 우연히 만나게 된 침팬지 '오도'를 사게 된다. 강아지도 아니고 침팬지를 말이다. 그 침팬지와 나누는 사랑은 인간과의 그것 이상이었다. 어떻게 이런 상상을 해서 글을 쓸 수 있는 것일까. 아주 오래전 읽었던 <파이 이야기>가 어딘가에 있을텐데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다.
나는 심보선이 시인인줄로만 알았지 사회학자인줄은 몰랐다.
서문만 읽어보고는 머리를 딩~울리는 무엇.
이 시대에 얼마나 많은 학자와 작가가 스스로를 하나의 작품처럼 '멋진 사람'으로 세상에 드러내려 하는가? 아무도 흉내낼 수 없는 자신의 업적을 세상에 뽐내려 하는가? 중요한 것은 개성을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선택한 예술과 학문의 주제에 헌신하는 것이다. 성취란 헌신의 결과이지 개성의 증명이 아닌 것이다. p.7
성취란 헌신의 결과이다. 물론 이에 대한 반론으로 작가는 이 책을 쓰고 공부를 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나는 너무나도 오랫만에 성취란 헌신의 결과여야 한다는 원론적인 이야기를 듣고 반성하게 되었다. 무엇을 바라고, 그것도 간절히 바라서 행해지는 일들 이외에 순수한 마음으로 나 자신을 위해 하고 있는 것들이 얼마나 되는가 말이다.
작년에 헤밍웨이의 단편을 읽고는 헤밍웨이를 다시 보게 되었다.(이제서야...) 아르테 출판사의 이 시리즈가 재밌는 것 같아 쭈욱 볼 생각이다. 아.. 헤밍웨이는 그 많은 사고들에서 살아남았으니 정녕 초인같은 인생을 살았다고 할 수 있겠다. 현대문학의 수많은 작가에게 영향을 미친 그의 작품들을 찬찬히 다~~ 읽어보고 싶다.
너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작가이거나 화가이면... 나는 좀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을 좋아한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ㅋㅋ 그런 사람중의 하나가 빈센트.
나도 나만의 빈센트를 사랑한다. 그의 작품 뿐만 아니라 갈대같이 흔들리는 그의 인생까지도. 그의 편지들은 하나의 문학같다는 생각이 든다.
빈센트는 테오에게 이렇게 썼다. "우리는 되도록 더 많은 것을 사랑하며 살아가야 해. 진짜 힘은 바로 거기서 나오기 때문이란다. 더 많이 사랑하는 사람은 더 행복할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을 믿을 수 있어. 그 사람 역시 가끔은 흔들리고, 의심도 하지만, 그럼에도 자신의 마음 속에 신성한 불꽃을 품고 살아갈 수 있지." 그 무엇도 제대로 사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빈센트는 포기하지 않았다. 가능한 더 많이, 더 깊이, 누군가를, 무언가를, 삶 자체를 사랑하는 일을. p.352
고고학자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땅 속에서 뭔가 유물을 캐내는 사람들의 이미지이다. 고고학자가 어떤 일을 하는 가에 대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으면 좋겠다. 실제 고고학의 목적은 역사 기록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과거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을 밝히는 것이라고 한다. 현재도 결국엔 과거가 된다. 우리가 사용하던 물건도 언젠가는 유물이 된다.
일본여행을 가고 싶다는 말도 함부로 할 수 없는 시국이다. 언젠가 가게 된다면 다시 이 책을 꺼내 찬찬히 살펴보고 가리라.
레너드 코페트의 <야구란 무엇인가>에는 위대한 감독이 세 가지를 기억하고 있다고 쓰여 있다.
"첫째, 장기적으로 보면 행운과 불행은 상쇄된다.
둘째, 언제나 내일이 있다. 셋째, 모든 선수를 똑같이 만족시킬 순 없다. " p.316
마법의 문은 늘 열려 있다. 사실은, 언제나, 그것을 찾아내고 못 찾아내고는 우리에게 달려 있다. 그렇게 생각한다. p.210
일상에서 마법을 찾아낼 수 있는 혜안을 가질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