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토토, 모리를 만나다 - 아람샘과 함께한 행복한 인문학 수업
인디고아이들 지음 / 궁리 / 2007년 9월
평점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우리의 삶은 타인이 판단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다른 사람의 삶과 비교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에요. 그런 것에 연연해 하지 말고, 자신을 행복하게 만들어줄 일이 뭔지 찾아가면서, 여러가지 경험들을 해보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p24
단지 history였던 과거는 회상과 자기 반성을 통해 현재의 자신에게 영향을 끼칠 때 비로소 현전하는 과거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미래도 마찬가지이다. 미래는 과거와 현재가 모여서 만드는 것이다. 오늘은 어제의 미래였고, 바로 지금은 1초 전의 미래였다. 사람은 언제나 새로 태어난다고 하지만, 그렇게 새롭게 태어날 수 있는 것은 바로 지금의 나가 미래의 나가 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더 좋고 더 희망찬 미래를 희망할 때 가능한 것이다. 그럴 때 mystery였던 미래는 그저 '지금'시점 이후가 아니라 지금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현전하는 미래가 된다. 우리가 느끼고 존재하는 시간은 현재뿐이지만, 이러한 현재를 변화시키고, 발전하게 하는 것은 과거와 미래라는 시간, 즉 과거, 현재, 미래가 합쳐져서 Present,, 선물이며, '나'인 것이다. -p43
'핸드메이드 라이프'에서 진정한 '부'란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능력을 얻는 것이라고 했다. -p105
참된 지(知)는 사람을 아는 것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식이 많은 것이 지의 수준이 높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知란 사람을 알아보는 것, 즉 인재를 판단하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아무리 자기가 아는 것이 많고 뛰어나다고 해도 혼자서는 많은 것을 할 수 없다. 자기와 함께할 다른 사람을 알아보아야 하는데 지적인 사람은 사람을 잘 알아보고 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다. 왜냐하면 지인이란 타인에 대한 이해일 뿐 아니라 인간에 대한 이해이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인간'이다. 인간을 아는 것이 知라는 대단히 근본적인 담론을 공자는 제기하는 것이다. 모든 지식은 사람과 관계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래서 知를 알려면 다른 사람을 알아야 하고 서로 관계가 있어야 한다. 내가 알려고 하는 그 사람이 나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知에는 愛가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애정이 있는 대상에 대해서만 진정한 그 모습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는 그런 愛가 배제된 오로지 상품을 팔기 위한 사회이다. 팔리지 않는 것은 폐기되고 모든 사람이 팔리는 것에만 몰두한다. 상품가치와 자본논리가 사회를 지배한다. 이런 환경에서의 지식은 인간에 대한 이해와는 전혀 무관하다. 물건을 파는 데 인간이란 요소는 그저 물건을 팔 대상일 뿐이다.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이 없는 사회는 無知한 사회이다. -p198
|
|
|
|
![](http://blog.alad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독서 교육의 모범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 '인디고 서원'의 '인디고 아이들'이 책을 읽고 토론한 과정을 펴낸 책이다. <창가의 토토>에서 토토와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의 모리. 인디고 서원의 아이들과 아람샘의 만남을 토토와 모리의 만남으로 표현한 것인데 진정한 교육의 장면을 표현한 것이리라.
이들의 토론 내용이나 과정을 보면 어떻게 이럴 수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열정이 있고, 깊이가 있다. 내가 꿈꾸던 작은 서점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생각의 나눔과 배움의 과정. 그리고 그 결과물들의 생산. 볼때마다 질투가 난다.
이번에 복직하면서 독서토론 동아리를 만들어볼까 했다. 그런데 학교에는 이미 독서 토론 동아리가 있었고, 동아리 신청은 3월에 끝나서 더이상 만들 수가 없다고 했다. 덕분에 교환공책을 하고 있는데 다음에 기회가 되면 독서 토론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작은 결과물이라도 만들어보고 싶다.
아이들이 의미없는 후크송에 빠지거나, 휴대폰, 게임기 등에 매몰되기 보다 책 속에서 드넓은 사유의 바다를 만나 즐겁게 헤엄쳤으면 좋겠다. 그 과정에 작은 안내자로서 역할을 맡을 수 있었으면 좋겠고.
책 읽는 재미를 아이들과 함께 나눴으면 좋겠다. 그런 점에서 인디고 서원은 좋은 모범이 되는 듯 하다.
인디고잉을 재구독하고, 궁리에서 펴내는 인디고 서원의 책들을 사서 읽고 나름 생각해본다.
인디고 서원이 어쩜 퇴직 후의 청사진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