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의 도 - 가르치는 이와 배우는 이를 위한 노자의 도덕경, 반양장
파멜라 메츠 지음, 이현주 옮김 / 민들레 / 200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49. 신뢰
뛰어난 교사는 자기 뜻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그는 학생의 마음을 자기 마음으로 품고서 일한다.

선한 학생을 선하게 대하고
선하지 않은 학생도 선하게 대한다.
이것이 진짜 선이다.

믿음직한 학생을 믿고
믿음직하지 못한 학생도 믿는다.
이것이 진짜 신뢰다.

뛰어난 교사는 마치 열려 있는 하늘과 같다.
학생들은 그를 이해하지 못한다.
다만 그를 존경하고 그에게 자신을 열어 놓는다.
교사는 그들을 자기 몸의 일부인 듯이 신뢰한다.

65. 무지함
옛적의 교사들은 학생들을 교육하지 않고
그들이 무지하다는 것을 가르쳤다.
학생이 자기가 무엇을 안다고 생각할 때,
그들을 가르치기는 어려운 일이다.
자기가 아무 것도 모른다고 생각할 때,
학생은 스스로 자기 길을 찾을 수 있다.

배우는 방법을 배우고 싶거든
우쭐대거나 오만하지 말아라.
가장 단순한 길이 가장 명백한 길이다.
그대가 일상생활로 만족한다면
그대의 참 자아로 가는 길을 자신에게 가르칠 수 있다.

71. 척하지 않기
모르는 것이 진실의 시작이다.
아는 척하는 것은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먼저, 그대가 무식하다는 사실을 꺠달아라.
그제야 그대는 알기 시작할 것이다.

학생이 곧 자신의 치료자다.
자기가 아무 것도 모른다는 사실을 알 때,
그 때에 그는 배울 수 있다.
 
   

노자의 도덕경을 교육과 연관지어 풀어쓴 책이다. 퇴근하는 길, 버스에서 읽었던 책이다.
짧은 시처럼 되어 있어 읽기 쉬웠지만 마음에 잔잔히 울림을 주었다.
고등학교로 옮긴 후 여가 시간이 나면 짬짬이 책을 읽는데 주로 교육관련 서적을 읽는다.
<프레이리의 교사론>이나, <핀란드 교실혁명>, <침묵으로 가르치기>, <교사역할 훈련> 등의 책은 밑줄을 그어가며 읽었고, 이 책이나 <야누슈 코르착의 아이들>, <아이들의 성장을 돕는 학교 상담>, <교실 속 갈등 상황 100문 101답> 등은 버스 안에서 짬짬이 읽어 내렸다.
마음 속에 울리는 구절들이 많다. 스스로 어떤 교사인지 반성하게 되고, 어떻게 아이들을 봐야할지, 대해야 할 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스스로 교사라고 하기에 부끄러운 사람이지만 아이들과 공감하고, 무언가 작은 것이라도 도와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