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골목 - 진해 걸어본다 11
김탁환 지음 / 난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는 아직 칠십이 되지 않았고 나와 단 둘이 여행을 간 적이 없다. 엄마의 고향은 부산이지만 엄마의 소녀 시절, 처녀 시절을 함께 더듬어 갈 기회는 아직 없었다. 엄마와 딸과의 관계는 엄마와 아들과의 그것과는 또 다른 것 같다. 수많은 일상들이, 구체성이 그 어떤 추상성을, 개요를, 일반화를 내리눌러 수많은 이야기를 나누지만 정작 나누어야 하는 그것과는 멀어지는 경우가 많아 아쉽다. 대화가 많다고 해도 그것의 대부분은 생활 그 자체에 가 닿아 있어 그 사람의 본질을 오히려 멀어지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김탁환 작가가 어머니와 동행하며 어머니가 생의 대부분을 보내고 작가로서의 배아가 싹 튼 진해의 골목 골목을 누비며 나눈 그 어머니와의 진짜 대화가 눈물겹게 부러웠다. 나에게도 그런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아버지와도.


진해는 나에게 낯선 지명이다. 벚꽃이 피면 수많은 상춘객들이 일부러 그 허무하게 저버릴 것만 같은 무게를 이고 빛나는 찰나를 보기 위하여 내려간다는 그곳을 아직 보지 못한 것이 아쉽기도 하고 다행스럽게 느껴지기도 했다. 아직 가보고 싶은 곳이 남아 있다는 건 어쩐지 좀 덜 채워져서 조금 더 욕심을 내어도 무방할 것 같아 안심이 되는 일이기 때문이다.



도로가 좁은 2차선인 탓에 벚나무 가지들이 허공에서 서로 만나 벚꽃터널을 이룬다. 그 하얀 터널 아래로 걸어 내려가면, 인구 10만 명에 불과한 이 작은 도시의 특별함을 깨달을 수밖에 없다. 이토록 새하얀 봄길을 걸어본 사람은 인생의 정갈함이 무엇인지 안다.

-p,124



그곳은 칠십 대 중반이 된 작가의 어머니가 무려 칠십 년을 보내며 이웃의 삼대의 가족과 소통한 공간이다. 작가를 낳고 키우고 단련시켜 훨훨 날려보낸 바로 그곳이다. 아들의 글을 어머니는 다 정독했다. 아들은 글 쓰는 이야기를 노모와 나눈다. 어머니는 함부로 간섭하거나 단정하거나 조언하는 대신 묵묵히 아들을 지지한다. 백석의 시집을 읽고 그 시집에 나온 음식을 직접 요리해 보는 어머니라니... 일찍 남편과 사별했지만 여인은 아들과 함께 걸으며 누빌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을 잘 여며 두어 행복하다. 하모니카를 불며 자신이 다 없애 버린 사진 속의 젊은 남편과 어린 아들들을 추억하는 나이 든 여인은 너무 멀리 보지 말고 하루 하루를 잘 살라고 이야기한다. 이제 사라질 것임을 알고 인정하고 수긍한 겸허함이 서글프지만 눈부시다.


이 이야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개인적이거나 감상적이거나 가볍거나 통속적으로 흐르지 않는다. 그 균형은 작가 자신의 글 그 자체보다는 작가 자신의 삶에 대한 태도에서 나오는 것 같다. 사회 전체의 애도로 감당하기 벅찼던 이야기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형상화하는 작가는 어머니의 격려를 지고 있다. 세상에 나오기 전에 우리는 어머니의 몸과 마음을 빌리지 않았던가. 결국 우리의 이야기는 어머니로부터 이어지는 생래적 한계를 부정할 수 없다. 그것은 개별성을 넘어선 어떤 공통의 공동의 영역이라 어머니와의 이야기는 지극히 개인적인 것 같지만 대단히 공적인 것이 되기도 한다. 진해를 가본 적도 없는 내가 그 모자의 답사에 간접적으로 행하는 것이 어색하지 않았던 이유다.


표지는 보랏빛. 어둠을 뚫고 형형히 빛나는 벚꽃에는 사실 빛이 없을진대 그것은 어둠을 뚫고 나올 듯하다. 아름다움은 그러한 것이다. 이미 고정된 고착화된 모든 한계를 스미고 나오는 것. 그것은 생의 본질이기도 할 것이다. 이미 스러질 것임을 안다 해도 그것이 무의미와 동의어가 아닌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