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정말이지, 그 때는 얼마나 힘들었는지 몰라."
"내가 이러려고 결혼했나, 했구나."
큰 애가 아기였을 때 아기띠를 하고 장을 다 보고 양 손에 짐을 들고 마을버스를 타면 제발 자리까지 균형을 잡고 걸어갈 수 있기를 바랐던 시간을 이야기하니 옆지기의 반응 --;; 우연히 예전에 자주 다니던 재래시장을 스치게 되어 함께 걸었던 내 인생의 어느 시기 비슷하거나 같은 상황에 있었던 인연들을 생각하니 잠시 뭉클했다. 더 어렸을 때에는 지금 만나는 사람들과의 자연스러운 작별이나 어긋남을 떠올리지 않았다. 그런데 이제 나이가 들고 보니 항상은 아니지만 종종 지금 나와 이야기하는 사람들, 손을 잡은 사람들과 헤어질 시간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면 어쩔 수 없이 슬퍼진다. 그냥 그렇게 된다. '지금', '여기'에 집중하고 싶은데 자꾸 '나중'에 얽매이게 된다. 중년이 되고 나면 그래도 여전히 대책 없이 희망하거나 마냥 기뻐할 수 있는 시간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을까. 그럴 수 있으면 좋을 텐데...
새삼스러운 욕심인지 모르겠지만, 이제부터라도 주위에 사람들을 두며 살고 싶어요. 인생 후반을 좋은 사람들과 교우하면서 보내고 싶어요. 나는 지금껏 주위에 사람을 만들어놓지 못한 채 살아왔거든요. 또 지금부터는 죽음을 대비한 삶을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해요. 글쓰기도 그렇고 사는 것도 그렇고 가정도 그렇고요. 잘 죽는 것도 어려운 일인데, 어느 순간 담담하게 그 경계를 넘어서고 싶습니다.
- 윤대녕 <Axt> 인터뷰 중 인용
윤대녕 소설가의 이 이야기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정말 그렇다. 사람을 항상 곁에 두고 시달렸던 사람들은 나이들며 자기에 충실하고 고독에 익숙해지고 싶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윤대녕은 반대의 경우인 듯하다. 삶을 관조하고 자기를 채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래도 세속은 결국 불화하더라도 사람들과 함께 어우러지는 곳이다. 오십 대를 넘어서고도 자기를 돌아보고 잘못된 점을 기꺼이 인정하는 그의 사려 깊은 태도가 절로 그의 얘기를 경청하게 했다. 중년에서 노년기로 넘어가는 시기는 조심해야 할 것 같다. 타인에 끊임없이 휘둘려도 흉하지만 독불장군도 고독하다. 그 어느 접점에서 욕망의 균형추를 잡지 않으면 추하게 미끄러질 수 있다.
모든 사람은 고유하고 개별적 존재라는 것, 모든 타인은 나만큼 삶의 무게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런 인식이 확보돼야 비로소 삶의 관계가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윤대녕 <Axt> 인터뷰 중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