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건 부두로 가는 길 - 조지 오웰 르포르타주
조지 오웰 지음, 이한중 옮김 / 한겨레출판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애플의 아이폰과 카메룬 감독의 아바타를 접해보지 못한 데서 느끼는 소외감과 자괴감은
무라카미 하루키의『1Q84』와 조지오웰의 『1984』를 읽지 않은 데서 온 것만큼은 아니었다.
조지 오웰을 모르고 이 책을 시작한 것은 일종의 모험이자 치기였다. 각오도 단단히 했다.
비판적 개인의 대명사라는 그의 대표작과 그것에 대한 일종의 오마주를 외면하고 바로 그의 정치적 견해로
뛰어드는 것은 그가 언급했던 나폴리아이스크림(3색 아이스크림)의 가운데 층을 떠내려는 것과 유사한 시도였다.
그런데 그 무모하고도 용감한 시도는 그의 익살과 재치, 그리고 인간에 대한 통찰력 있는 애정을 바탕으로 한
친절함덕분으로 가두리라도 훑고 내려올 수 있었다. 아주 재미있고 친절하고 쉽게 독자들을 끌어오려고
애쓴 작품이자 번역이다. 1부의 탄광노동자의 르포르타주와 2부의 사회주의에 이르게 된 자전적 내용,
정치적 견해 등도 전혀 딱딱하지 않고 흥미롭다. 실제 항상 모든 일을 직접 체험해 보고 사변적이고 추상적인 이해를
지양했던 그의 태도가 문체에도 그대로 드러난 것 같다. 현학적인 어휘와 만연체로 동사를 행한 주인을 찾기 위해 목을 빼고
주어를 찾아 헤매어야 하고 그럴듯한 논리와 문학적 깊이는 지루함을 덧대어야 한다는 듯이 얘기하는 글들과는 애초 다르니
참으로 다행한 일이다. 조지 아저씨는 이런 사람이다.
아직도 나는 다른 사람이 입 댄 컵이나 병에 든 무얼 마시는 것 싫다(다른 사람이란 남자를 말하는 것이고, 여자가 입 댄 건
상관없다).-p.177
1부의 탄광 지대 노동자들의 실상을 다룬 르포는 우리가 호흡하느라 들이키는 산소 만큼 산업사회에 필수적이지만
그래서 더 자주 망각하는 하류 노동자들의 고된 노역을 직접 따라가며 보여준다. 특히 막장에 가기 위하여 몸을 반으로 접고
1.5킬로미터를 가야하는 그 댓가없고 드러나지 않는 긴 여행에 대한 묘사와 땅속 삼백미터 밑 숨막히는 더위 속에서 탄진을
들이키며 무릎으로 기어가며 일하는 그들의 모습에 대한 얘기는 편하게 앉아 그 얘기를 듣는 것이 마치 죄악처럼
느껴져 무언가 참회를 해야 할 것만 같은 안달에 사로잡히게 했다.
우리 모두가 지금 누리고 있는 비교적 고상한 생활도 '실로' 땅속에서 미천한 고역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빚지고 얻은 것이다. -p.49
2부는 오웰이 소위 상류 중산층 하급에서 어떻게 사회주의자가 되어 노동자들의 편에 서게 되었는지의 궤적을
보여주고 이어 파시즘의 위협을 받고 있는 사회주의의 효과적이고 본질적인 전파의 방법에 대한 나름의 모색과
대안이 펼쳐진다. 특히 그가 이튼 스쿨 같은 영국의 사립학교가 속물근성을 세련되고 미묘하게 길러내는 곳이라고
지적한 대목이 인상깊다. 머리에는 기득권에 대한 비판과 온갖 혁명의 명분들을 채워넣지만 정작 갈라지고 유쾌한
향을 기대할 수 없는 노동자의 손을 잡을 수 없는 그 속물근성과 부조리에 대하여 고백하는 장면은
그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는 중산층의 속물근성을 끄집어 내어 펼쳐 놓은 것 같아 뜨끔하다.
그가 얘기하는 사회주의는 대단한 대의나 그럴듯한 명분의 허식을 벗어버리고 드러나는 정의와 자유의 속살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도식과 고루한 관용어들과 경직된 이념의 틀 바깥에 내쳐진
노동자 계급들을 포용하고 소극적인 지식인들을 끌어오기 위해서 직접 그들 속에 몸을 던진 그의 체험적 이념의 실현에
대한 기대는 허식이 아니고 기만이 아니고 속물적이지 않아 설득당하게 되고 설득당하고 싶어진다.
모든 혁명적 소신이 갖는 힘의 일부는 아무것도 변하지 않을 거라는 은밀한 확신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p.212
혁명은, 그 단어가 가지는 도발의 핵심은 우리가 가진 것들을 포기하고 우리 자신의 일부를 허물어뜨리는 자기희생의 다리를
건너지 않고는 도달할 수 없는 지향으로 가는 길이다. 우리의 속물 근성과 우리의 위선을 아프게 긁어내고 우리가
서있기 위한 땅을 고통스럽게 지지해 주고 있을 그 수많은 무리들과 함께 가는 그 길은 최소한의 인간다움에 대한
존중이며 인간 최선의 미덕에 대한 경의의 표현이다. 1930년대 오웰의 통찰은 그래서 현재도 여전히 유효하며
장중한 울림을 가진다.

다시 돌아와서 무라카미 하루키의『1Q84』와 조지오웰의 『1984』를 함께 읽으려고 한다. 언젠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