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벽의 사원 ㅣ 풍요의 바다 3
미시마 유키오 지음, 유라주 옮김 / 민음사 / 2025년 1월
평점 :
미시마 유키오의 '풍요의 바다' 연작 시리즈 중 3권에 해당하는 <새벽의 사원>에서 주인공 혼다는 마흔일곱에서 쉰여덟이 된다. 1권이었던 <봄눈>에서 친구 기요아키의 죽음과 2권 <달리는 말>에서 소년 이사오로의 환생과 죽음을 목도한 그는 이제 그의 두 번째 환생을 둘러싼 대승불교의 윤회환생설을 본격적으로 탐구하게 된다. <봄눈>에서 일본에 왔던 시암의 왕자 차오 피가 약혼녀에게 선물하려 했던 잃어버린 반지를 매개로 혼다의 여정은 소송 건으로 방문한 태국으로 이어진다. 그곳에서 만난 공주 잉 찬이 성장하여 일본을 방문함으로써 둘의 재회는 혼다의 묘한 관음증적 욕망으로까지 치닫는다.
전반부에 중년의 혼다가 인도의 바라나시 화장터에서 목도한 죽음의 풍경과 후반부의 노년의 혼다가 품게 된 어린 공주에 대한 충족될 수 없는 욕망의 대비는 이 둘이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강화하는 그 생래적 모순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피처럼 떨어지는 시간"이 결국 인도하는 죽음이라는 귀결점을 품은 생을 사는 인간이 역사에 궁극의 미에 예술에 행사하려는 의지는 모두 무용하다. 그 너머로 가닿으려는 그 처절할 정도로 미약한 시도는 결국 죽음으로써만 가능함을 암시하는 이야기는 불가능을 이야기하기보다는 이생이 가지는 궁극의 의미는 갱신되는 순간의 전념에 있으며 이 반복이 결국 환생 그 자체임을 일깨우는 것이 아닐까. 미시마 유키오가 이 작품에서 천착한 대승불교의 유식과 환생에 대한 이야기도 결국 끊임없이 갱신되는 현생의 이 순간의 현전에 대한 궁극의 인식으로 귀결된다.
미시마 유키오의 문장은 깊고 예술적 승화의 체로 걸러져 더없이 농밀하다. 노화, 죽음에 대한 치열한 탐구도 깊이가 남다르다. 분명 미시마 유키오만 할 수 있고 쓸 수 있는 독특한 미학적 세계가 있고 이건 그 어떤 다른 이도 모방할 수 없다. 다만, 당연히 한국 독자로 역사적 특수성을 감안한다 해도 전후 폐허가 된 일본에 대한 감정적 묘사라든가, 혼다의 관음증의 대상이 된 여성을 그리는 대목은 불편하고 거슬린다. 미시마 유키오를 읽는 일은 그런 모순과 긴장까지 안고 가야 하는 과정이다.
이제 분명한 점은 혼다의 욕망이 바라는 궁극적인 것, 그가 정말로, 정말로 보고 싶은 것은 그가 없는 세계에서만 존재한다는 점이다. 정말로 보고 싶은 것을 보려면 죽어야 하는 것이다.
-pp.403
그러니까 이것은 인간이 궁극의 실재를 지향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그의 생과의 낙차에 대한 정교한 탐방기다. 그것을 포기하고 죽음이라고 명명해 버릴 때 읽는 이들이 느낄 허탈함은 미시마 유키오의 한계이기도 하고 강점이기도 하다. 윤회를 얘기함으로써 다음 생에 대한 희망을 얘기하는 대신 이 순간의 허무를 아름답게 세공해 버리는 미시마 유키오의 문장은 결국 끝나버릴 생과도 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