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보르스카의 <박물관>이라는 시는 유물이 존재에 대하여 가지는 의미와 무게를 노래한다. 박물관의 유물 앞에서 쉼보르스카가 얘기하고자 했던 바를 절감한다. 이건 역설이었다. 우리를 앞서고 우리를 떠나 남고야 말 그 유물들의 힘 안에는 존재의 유한성을 뛰어넘고 세대를 아우르는 영혼의 승계가 있었다. 삶의 종결이 우리의 종말을 의미하지 않는다. 필멸자인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너머의 무언가로 연결되어 있다는 전언.
왕관이 머리보다 더 오래 살아남았어요.
손은 장갑에게 굴복하고 말았어요.
오른쪽 구두는 발과 싸워 승리했어요.
-쉼보르스카 <박물관> 중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에 다녀왔다. 어렸을 때에는 지루하고 무의미하게 느껴지기만 했던 유물들 앞에서 전혀 다른 감정이 휘몰아쳐 놀랐다. 심지어 구석기의 돌도끼들, 신라의 봉분에서 출토된 각종 금관들마저 그것을 썼던 이미 사라져간 그들의 숨결이 가까이에서 느껴지는 듯한 착각 속에 서성거리게 됐다. 머나먼 과거와 연결된 현재에서 그 유물을 매개로 조우하는 듯한 각별한 공감지대에서 나는 그저 나이든 게 아니라 성장했다는 실감이 왔다. 모든 것이 헛된 것은 아니었다. 시간의 흐름이 파괴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큐레이터인 정명희의 유물에 대한 이야기들은 두고두고 남는다. 비단 유물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것들을 통해 삶에 대한 이야기로 확장 심화시키는 그녀의 능력은 탁월하다. 두고두고 인상적인 유물을 보고 온 마음처럼 그녀의 문장들을 곱씹게 된다. 박물관에서 흔히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유물들을 어떤 마음으로 바라봐야 할지 친절하고 세심한 가이드 역할은 덤이다. 700년 전의 고려 여인의 서원이 깨달음으로 인한 윤회의 종결과 더불어 그래도 다시 태어나야 한다면 중국의 남자로 태어나게 해달라는 것이었다는 대목에서는 저도 모르게 멈춰서게 된다. 부귀영화가 아닌 삶의 독립을 위한 남자로서의 재탄생을 꿈꿨던 그녀의 고단한 여성으로서의 삶을 상상해 본다. 거기에서 오늘은 얼마나 많이 온 것인지 아니 앞으로 나아가긴 한 것인지 가만히 되짚어 보게 된다. 발원문에 두 살 아이의 장수의 꿈을 곱게 적은 부모의 마음도 상상해 본다. 그저 아이가 건강하게 오래 살기만을 바랐던 소망이 큰 꿈이었던 시대와 자본주의의 승자가 되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이 교육열로 포장되는 현시대의 간극을 가늠해본다. 내가 사는 지금으로부터 700년이 지나고 나서 후세인들이 우리의 소망을 어떻게 바라볼지 차마 상상할 수 없다. 우리가 바라는 것들이 그들이 보기에 천박하거나 사소하지 않기를 기원할 뿐이다.
현재에 발을 담그고 그렇게 과거의 것들을 바라보며 미래를 떠올려 본다.
현재에 머문다는 게 쉽지 않았다. 있어야 할 곳, 해야 할 것에 맞추다 일과 삶을 혼동했다. 익숙한 것을 소흘히 대하고 사라진 후에야 그리워했다. 내가 없는 것은 잡고 싶어 했던 것 같다. 여행은 끝나가고 있었다.
-정명희 <멈춰서서 가만히>
"여행은 끝나가고 있었다"가 삶의 은유로 읽힌다. 사라진 후에야 그리워하지 않기를 바라며 현재에 머물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