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년기의 끝 - 아서 C. 클라크 탄생 100주년 기념판
아서 C. 클라크 지음, 정영목 옮김 / 시공사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 소설을 즐겨 읽는 편은 아니다. 아서 C. 클라크의 <유년기의 끝>은 단순히 제목에 이끌렸다. 상상력에 의거하여 작가가 세운 가상의 제국에 제대로 동화되지 않으면 SF는 몰입하기가 어렵다. <유년기의 끝>에는 묘한 이야기의 견인력과 흡인력이 있다. SF에 별로 관심이 없는 독자라도 쉽게 빠져들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의 유명세가 이름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유년기의 끝>은 '오버로드'라는 외계 생명체가 지구에 내려와 인간들을 연구하고 지배하다 결국 개별성이 제거된 거대한 집단정신 에너지 군체가 되어 심우주로 뻗어나가는 인간들의 진화 작업을 마무리한 후 떠나는 이야기다. 결국 이것은 인류의 멸망이기도 하고 지구라는 행성의 절멸의 이야기이자 인간이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으로 진화하는 스토리다.


오버로드 입장에서 인간은 자신들의 과학과 기술의 진보로 서로를 공격하고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리는 어리석은 종족이다. 그들은 인간을 구원함과 동시에 자신들 또한 '오버마인드'의 지배를 받는 한계를 극복할 방법을 모색하지만 그 모든 시도와 질문의 답은 주어지지 않는다. 클라크는 거대하고 심오한 질문들만 남겨둔 채 이야기를 마무리짓는 한계는 보이지만 이 지구라는 행성과 지금이라는 시간의 차원을 더 거시적인 차원에서 조망하는 식견을 제공해준다. 이 이야기는 인간의 지평을 넓힌다. 우리가 지금 여기에서 집착하고 추구하고 경쟁하는 것들이 과연 우주적 차원에서 가지는 가치나 의미는 무엇일까. 위에서 내려다 본 인간사는 볼품없고 미시적인 낭비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아서 C. 클라크의 질문은 고차원적이고 철학적이고 근본적인 지점까지 천착해서 내려간다. 과거와 현재와 미래, 여기와 저기, 모든 시공간의 경계는 어그러지고 그러고 나도 남을 수 있는 것들에 대한 근원적인 탐사가 가지는 심오한 무게가 느껴졌다. 


그러나 단순히 외계 생명체와 인간과의 관계를 지배와 피지배, 또 그 위에 '오버마인드'의 존재를 가정한 것 등은 이분법적인 식민지배관이 투영된 것이 아닌가 하는 지적을 면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오버로드'가 지구라는 행성에 돌아와 행했던 지배 행위가 가지는 의미도 모호하다. 두 개의 대전과 냉전 시대의 군비 경쟁 등의 당시의 상황을 감안하면 모든 걸 은유로 읽을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시각은 이 이야기를 지나치게 평면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야기가 가지는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그가 설계한 우주의 배경과 시공간에 대한 촘촘하고 아름다운 묘사는 수많은 우주 공상 영화와 이야기들이 태어나는 토양 역할을 하게 된다. 그의 문장은 간결하고 명료하면서도 대단히 시각적이라 눈앞에 거대한 우주 정거장의 환시를 보여주는 차원의 것이다. 


"별들은 인간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요." 

이 메시지는 <유년기의 끝>의 핵심이다. 그것을 마음으로 받아들일 때 이 이야기에 흠뻑 몰입하는 우주여행을 떠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