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 믿음의 글들 9
엔도 슈사쿠 지음, 공문혜 옮김 / 홍성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소설의 흡인력은  이미 비교적 쉽게 획득한 핍진성보다는 사실들의 행간의 맥락, 인물의 내면의 심리의 묘사력에 기대는 바가 크다. 이미 벌어진 일들은 이미 충분히 잘 알고 있는 독자가 그러한 사태와 상황 속의 인물에 몰입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전제일 것이다. 시공간의 낙차를 극복하는 방법은 그러한 내면의 묘사가 가지는 공감의 힘이다. 


그러한 면에서 엔도 슈사쿠의 <침묵>의 배교자들은 비겁해 보이지 않는다. 17세기 일본으로 선교를 떠난 포르투칼 로드리고 신부의 수난의 과정은 대단히 현실적이다. 그의 스승이었던 페레이라 신부가 고문에 굴복해 배교한 과정은 결국 제자인 '나'의 여정에서 비로소 다른 측면에서 이해되고 재조명될 것이다. 기적도 극적인 해피엔딩도 없이 건조하고 어쩌면 외형적으로는 패배의 여정이라 할 만한 그 처절하고 사실적인 선교 과정의 묘사는 실제 가톨릭 신자였던 엔도 슈사쿠와 종교를 공유하지 않아도 충분히 공감하고 감동 받을 만한 것이다. 주인공 로드리고 신부는 우리가 삶에서 청춘일 때 인생에 기대하는 어떤 열정, 이상과 합치하지 않는 생의 간극에서 가지게 되는 회의의 정경에서 흔들리는 대목을 그래도 체현하고 있다. 비겁자 스승의 발자취를 좇으며 그가 결국 깨닫게 되는 것들은 비단 종교적인 것들만이 아니다.


드라마틱한 기적도 신의 응답도 실종된 침묵의 현장에서 고통받으며 순교하는 무고한 신도들 앞에서 무기력하게 성화를 밟고 배교하기를 강요 당하는 고문의 현장에 선 로드리고 신부의 고통의 묘사가 절절하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면서 자신이 무엇을 위하여 대체 이 머나먼 이국으로 와 응답이 없는 신을 위해 이 생에서도 굶주리고 위정자들에게 핍박받는 사람들이 마지막까지 고문에 몸부림치며 죽어가야 하나, 라는 회의론적 의문은 치열하게 그를 압박한다. 모든 흔들리는 희미한 질문들을 엔도 슈사쿠는 피하지 않는다. 선교라는 미명하에 변형되어 아예 실체조차 불확실한 종교의 변용에 대한 회의도 비록 일본인의 입을 빌렸지만 적나라하게 표현된다. 


하나님은 정말 존재하는 것일까. 만약 하나님이 없다면 수없이 바다를 횡단하여 이 작은 불모의 땅에 한 알의 씨를 가져온 자신의 반생은 얼마나 우스꽝스럽단 말인가. 그건 정녕 희극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만약 하나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 매미가 울고 있는 한낮, 목이 잘린 애꾸눈 사나이의 인생은 우스꽝스럽다. 헤엄치며 신도들의 작은 배를 쫓은 가르페의 일생도 우스꽝스럽다. 신부는 벽을 향하고 앉아 소리를 내어 웃었다.

-p.215


유다처럼 로드리고를 밀고하고 팔아 넘기고 부인하고 도망치지만 끝내 그의 주변을 떠나지 못하는 기치지로라는 인물도 어쩐지 눈물겹다. 약한 본성과 엄혹한 상황에 몰려 계속 자신의 신앙을 부정해야 했던 그지만 그럼에도 반복해서 돌아오고 신부 곁을 맴도는 그의 현실은 신앙을 위해 기꺼이 순교하는 용감한 신도들의 모습보다 더 현실적이다. 엔도 슈사쿠의 인물들은 고정적이고 용감하고 이상주의적인 대신 현실적이고 유동적이고 회의하고 모순적이라 우리의 삶과 더 가깝다. 그 모두의 변심과 배교는 그래서 미약한 마침표가 아니다. 수많은 질문들과 실종된 답변들은 그 자체로 하나의 성취다. 그는 감히 답하거나 설명하지 않은 채 마친다. 그것은 한계이기도 하고 최대치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