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트웨인 자서전
마크 트웨인.찰스 네이더 지음, 안기순 옮김 / 고즈윈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안의 어른 한 분은 90이 넘자 자서전을 출판하고 싶어하셨다. 한 세기에 가까운 삶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마음이 짐작이 갔다. 그 소망은 여러가지 상황으로 안타깝게도 이루어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삶은 사라지고 기록은 남는다. 우리는 그 남은 기록이나 후손들의 기억의 조각들로 그 사람의 생을 재구성한다. 기록도 기억도 각자의 관점에서 왜곡되지만 그 왜곡이 전부를 무의미하게 만들지는 못한다. 여하튼 누군가의 언어로 한 사람의 잊혀질 뻔한 삶을 재건하여 이해한다는 건 언어로는 다 형용하기 힘든 가치를 지닌다. 


여기 마크 트웨인의 자서전이 있다. <허클베리 핀의 모험>과 <톰 소여의 모험>, <왕자와 거지>의 작가는 사실 '증기선의 안전 항행 수역 수심 두 길'을 뜻하는 필명이다. 그의 자서전은 그의 의지대로 사후에 출간되어 스스로를 이미 '죽은 자'로 칭하는 익살을 빛냈다. 상당 부분이 구술로 이루어져 어떻게 보면 다소 난삽하고 시간의 흐름도 때로 어긋난다. 찰스 네이더의 편집으로 독자들이 방대하고 난해한 그의 이야기의 숲에서 다행히 길을 잃고 헤매지 않게 되었다. 실제 대체로 탄생부터 시간의 흐름대로 펼쳐지는 그의 다채로운 삶의 이야기는 편집자에 의하여 재구성된 것이다. 때로 일흔흘 훌쩍 넘긴 마크 트웨인이 비집고 들어와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는 마치 한 대작가가 죽은 줄 알았는데 살아 돌아와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술 한잔 걸치고 되는 대로 뱉어내지만 그 문장 문장 하나가 놀랍도록 문학적이고 심오해서 에피소드 하나로 때로 감동적인 단편 소설을 낭독하는 현장에 초대된 기분이다. 특히 찬사를 받는 그의 어린 시절 삼촌의 농장에서 사촌들과 보냈던 정경에 대한 묘사는 놀랍도록 감각적이라 지금 거기에 가 있는듯한 착각을 자아낼 정도다.


겨울 동안 저 아래 지하 저장실 통 안에 보관해 둔 냉동사과의 모양이 생각나고, 깨물면 어찌나 딱딱하고 이가 시렸는지 그러면서도 어찌나 맛이 좋았는지 생생하게 기억난다. 겨울 저녁 화로에서 사과가 지글지글 소리를 내며 구워지고 이렇게 구운 사과를 크림에 푹 담갔다가 설탕을 약간 뿌려서 뜨거운 채로 먹을 때는 정말 뿌듯했다. 

-p.71


시종일관 유머러스하고 때로 시니컬한 논객이지만 진지하게 삶에 대한 통찰을 얘기할 때는 기억해 두고 싶은 구절들이 한 가득이다. 


수많은 사람이 태어나고 먹을 것을 위해 일하고 땀 흘리고 고군분투한다. 언쟁을 벌이고 비난하고 싸운다. 서로 앞다투어 조그만 이권을 차지하려 한다. 그러면서 슬슬 나이를 먹기 시작하고 질병이 뒤따른다. 수치와 굴욕이 자존심과 허영에 상처를 입힌다. 사람하는 사람을 빼앗기고 삶의 즐거움은 고통받는 슬픔으로 바뀐다. 고통, 근심, 비참함의 무게는 해가 거듭될수록 점점 무거워진다. 마침내 야망이 죽고 만다. 자존심이 사라진다. 허영이 무너진다. 그리고는 드디어 세상이 부여한 것중에서 유일하게 독성이 없는 선물을 받는 순간에 도달하면서 세상에서 사라진다. 아무것도 이루어 놓은 것이 없는, 실수와 실패와 어리석음만을 저지른, 존재했었다는 흔적조차 없는, 자신이 사라진 것에 대해 단 하루 애도를 표하고는 영원히 잊어버리고 마는 그런 세상에서 말이다.

-p.298


무시무시할 정도로 직설적이고 예리한 묘사다. 평범한 사람의 삶과 죽음을 이렇게 요약해버리니 할 말이 없다. 그것은 우리 자신이 직시하고 중요하지 않은 것들에 집착하고 끄달리고 괴로워하는 시간들의 낭비에 대한 엄중한 경고다. 우리의 삶이 이렇게 될 것이라는 것을 자인하지 않는한 우리는 또 유한한 금같은 나날들을 아깝게 소진하고 말 것이다. 


마크 트웨인의 가족들은 그의 작품의 숨은 편집자이자 리뷰어들이었다. 특히 아내는 주도적으로 그의 작품들을 수정하고 편집했다. 어린 딸들은 엄마의 주변에 앉아 엄마가 삭제해버릴 아빠의 사랑스러운 과감한 문장들을 비호했다고 한다. 그러나 사랑하는 딸들은 두 명이나 장성해서 마크 트웨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버린다. 그에게 아내와 딸들의 죽음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가로질러 가족, 사랑, 존재에 대한 철학적 숙고를 하게 한다. 그는 '영원'을 믿지 않고 삶은 한번으로 충분하다고 이야기한다. 자신에게 이들의 죽음은 슬프지만 그들에게 죽음은 하나의 선물이라는 믿음으로 시련을 통과한다. 가장 오래 남아 가슴 아픈 작별과 상실의 장을 통과해야 했던 대작가의 이러한 관조적인 시선은 소년들의 모험담을 통하여 미국을 이야기했던 위대한 작가가 마침내 얻어낸 가장 어렵고 고귀한 죽음에 대한 통찰이 아닌가 싶다. 이것은 나에게도 위로가 된다.


스스로를 더없이 게으르고 어리석은 사람이라 칭했던 그가 죽어가는 아내와 거의 최후까지 문틈으로 러브레터를 교환했던 대목은 그의 냉소보다 더 강렬하다. 그렇게 마크 트웨인을 기억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