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읽기와 삶 읽기 1 -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바로 여기 교실에서
조한혜정 지음 / 또하나의문화 / 199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생들의 레포트와 토론 내용이 고스란히 실려있는 이 책을 읽어보면, 같은 학교 같은 학번 사이에서도 사고의 깊이와 글의 수준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당연히 그러게 마련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도 있겠지만, 그 당연함을 생생한 교육 현장 속에서 너무도 적나라하게 확인하게 되니 느끼는 바가 또 다르다. 저마다의 색깔과 밝기로 빛나고 있는 인간들을 보편의 척도에 맞추어 일괄적으로 양성하고 분류하려는 제도적 노력 자체의 과격함에 대한 환기는 둘째 치고, 인간의 사고 능력의 성장이라는 것이 개인의 역사와 교호하면서 얼마나 섬세하고 개별적인 궤도를 그리게 되는 것인지, 인간 지성의 깊이와 폭의 변화 양상은 또 얼마나 무궁하고 역동적일 수 있겠는지 (이 책의 본래 의도와는 그다지 상관이 없는 지점에서) 별 생각이 다 든다. 교육을 업으로 하고 있지 않은 나 같은 사람도 이런 생각을 해보게 될 정도니 교육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볼 만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의 선비 서재에 들다
고전연구회 사암 엮음 / 포럼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옛 선비들은 서실을 꾸밀 때 흔히 당호를 지어 편액으로 내걸고 스승이나 벗에게 청하여 서재에 부치는 기문(記文)을 얻었던 모양이다. 기문이란 서재 주인에 대한 소개, 서재의 건축 계기, 당호의 의미와 유래, 서재에 거하면서 항상 유념해야 할 자세, 당부와 바램 등을 적은 짧은 글인데, 책으로 비유하면 머리말에 실린 헌사나 발문 같은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이 책은 조선시대 때 쓰여진 기문들과 각각의 기문에 얽힌 인연과 사연들을 맛깔나게 엮어놓고 있다.    

 

조선의 선비들로부터 느낀 바가 있어 나도 훗날 집을 마련하면 거실을 서재로 꾸며봐야겠다. 소파와 텔레비전 대신 책장과 오디오, 향초, 다탁 겸 서안(書案), 틈틈이 모은 아기자기한 문구와 다구(茶具)들을 모셔놓고, 서재에 어울리는 근사한 당호를 짓고, 솜씨 좋은 서각가에게 부탁드려 제작한 편액을 벽에다 걸어놓고, 나 스스로 기문을 지어 낭독하는 것으로 현판식도 거행하면 좋겠다.

 

서재에 즐겨 머물면서 "세상의 번잡함과 화려함을 뒤로하고, 삶의 마지막이 부귀영화로 치달리는 일을 천박하게 여기면서, 오로지 책을 읽고 이치를 궁리하고 사색하며 몸을 닦고 본성을 기르는"(장현광) 개인적인 사업에 힘쓰는 가운데, 가끔은 벗들을 불러들여 “삶은 닭을 찢어 먹으면서 술을 마시고 밤이 새는 줄도 모르고 이야기”(김택영)도 나누어야지. 상상만 해도 입가에 미소가 번지는 일이나, 가만 생각해보니 정작 집을 장만할 길이 요원하구나. 이거 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정희 문학앨범 - 존재의 심연과 회상의 형식 웅진문학앨범 10
오정희 외 / 웅진지식하우스 / 1995년 7월
평점 :
절판


넌지시 웃는 듯 마는 듯한 오정희 선생의 얼굴은 꼭 무슨 미륵보살 같으다. 그래서인지 선생의 소설들은 마치 보살이 되어가기 위한 도야의 흔적처럼 읽힌다. 천착하는 주제와 소재의 다소 답답한 점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들에 언제나 고개 숙이게 되는 까닭은, 작품에서 드러나는 글쓰기에 대한 태도(완벽을 기하는 지독한 정성)때문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래된 정원 - 상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성에 대한 진부한 판타지로 일관된 설정이며 체제에 대한 저항의 방식이며 하여간 여러가지로 고풍스런 소설인데, 물론 그 시절을 온몸으로 겪어낸 세대라면 이러한 고풍스러움이 각별하게 다가올 수도 있겠으나 나로서는 심히 느끼하고 오글거린다. 운동권 아저씨들의 할리퀸로맨스라고 밖에는...-_- 역사의식의 부재에서 나온 무지하고 교만한 감상평인가. 아니면 내 감성의 메마름을 탓해야 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중록 - 내 붓을 들어 한의 세월을 적는다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4
혜경궁 홍씨 지음, 이선형 옮김 / 서해문집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자식이 부모를 혹은 부모가 자식을 살해하는 경우처럼 외설적인 사건이 또 있을까. 영조는, 왕조의 역사에서 많은 이들이 때로는 한번쯤 욕망했으나 감히 아무도 직접적으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던 일을 친히 두 손을 걷어부치고 대명천지에 감행해버림으로써 역사에 두고두고 회자될 추문을 남겼다. 그런데 정작 추문의 진앙이던 사도세자가 앓았다는 병환이란, 인간이라면 누구나 어느 정도는 만성적으로 지니고 있게 마련인 불안강박증 같은 것이었던 모양이다.

 

혹자는 화풀이로 궁인 여럿을 죽인 사도세자의 행적이 가히 사이코패스 수준이기 때문에 그를 마냥 당쟁의 희생양으로 볼 수만은 없다고도 하는데, 그렇게 본다면 삼국지에 등장하는 장비를 비롯한 영웅호걸 대부분을 사이코패스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오히려 살인이 극도로 터부시되는 이 시대야말로 역사적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전무후무하게 억압적인 사회인지도 모른다.) 아마도 사도세자는 정치력 부족으로 주위에 정신과적 상담을 나눌 만한 인물을 두지 못한 채,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권력의 정글 속에서 점차로 신경증이 악화되어간 것 같다.

 

사도세자는 정치적으로 교활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기질 자체가 매우 섬약하고 소심했던 듯하다. 그러나 그런 면이야말로 왕도 사이코패스도 되지 못한 모든 평범한 인간들이 보여주는 지극히 전형적인 특성이 아닌가. 임오화변은, 인간의 평범성이 초자아로부터 죽임을 당하게 되는 결정적인 사유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역사적 선례라는 점에 있어서 언제 읽어도 무시무시하다. 세상의 모든 걸출하지 못한 인물들이 처할 수 있는 최악의 경우라고 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