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모와 어둠 속의 기적 - 전2권 세트
발터 뫼르스 지음, 이광일 옮김 / 들녘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가끔은 "재밌다"는 말 외에는 달리 표현할 길이 없는 책들을 만난다.

발터 뫼르스의 <푸른곰 선장과 13 1/2의 삶>을 처음 만났을 때 그러했고
역시 같은 작가의 이 책 <루모와 어둠속의 기적>을 만났을때도 그러했다.

책을 읽는 목적도 가지가지고, 책에서 얻고자 하는것들도 여러가지겠지만
기본적으로 재미의 추구는 책을 읽는 가장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욕구일것이다.
적어도 내 경우는 그렇다는 얘기다.
(아주 가끔 필요에 의해서 읽는 책 중에 글빨이 안돼서 아주 재미없는 책이 있을때가 있다. 이 때는 정말 괴롭다.)

이 책의 배경은 푸른곰 선장이 살던 곳과 같은  차모니아 대륙이다.
(물론 푸른곰 선장과 함께 차모니아 대륙 연작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전혀 상관없는 얘기니 굳이 푸른 곰 선장을 읽어야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하지만 푸른 곰 선장을 읽었다면 그 책에 나왔던 얘기들이나 사람들을 다시 잠깐씩 마주치는 행복을 누릴 수도 있다. 나흐티갈러 교수를 다시 만난건 내 경우 옛 친구를 만난것 같은 느낌이었다.)

루모는 늑대와 여우 사이에서 생겼다는 전설을 간직한 볼퍼팅어 이다.
이 종족들은 어떻게 된게 아이가 태어나면 갖다 버린단다.
왜 그런지는 알수 없다. 이런것에 왜를 붙이기 시작하면 머리 아파진다.
그냥 그렇다.
그렇게 버려진 루모는 어느 농가에서 아주 안락하게 살다가 어느 날 하늘을 떠다니는 은띠를 발견한다.
이 순간부터 은띠를 찾아가는 루모의 모험이 시작된다.
물론 루모는 아주 어렸기에 그 모험은 자신의 뜻으로 시작되지는 않았다.
그 은띠가 루모에게 처음 나타나던 날은 악마바위의 외눈박이 거인에 의해 농장이 약탈 당하고,
루모를 키워주던 난쟁이 페르하헨들과 루모 그리고 온갖 가축들은 모두 외눈박이 거인의 포로신세가 된다.

이제 모험의 시작이다.
루모의 은띠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그리 오래지 않아 밝혀진다.
그 은띠는 어쩌면 상투적이고 겨우 이거였어라고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소설의 힘은 그런 곳에 있지 않다.
이건 추리소설이 아니고 완벽한 모험소설이기에.....

루모는 처음에는 은띠가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서
그리고 은띠의 의미를 알고난 이후에는 그 은띠의 존재를 구하기 위해서
모험의 모험을 거듭한다.
루모는 너무나 단순하다.
언제나 목적이 있으면 이러저리 재고 있지 않는다.
오로지 자신의 은띠를 찾기 위해 모험을 거듭할뿐이다.

이 모험의 길에서 루모가 만나는 이들과 광경들.
그리고 그의 길을 가로막는 자들과의 싸움들은
인간의 상상력의 한계가 정말 없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모습의 생명체는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그 생명체들이 모두 이미 지구상에 있는 것들의 이러저러한 조합이거나 변형이긴 하겠지만
그렇게 해서 탄생한 생명체들은 모두 기괴하고 모두 새롭다.
가끔은 설명만 들어서는 도저히 나의 빈약한 상상력으로 복원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그럴때는 걱정마시라!!!
친절한 작가는 곳곳에 삽화를 끼워넣어 독자들을 괴로움에서 구해낸다.

삽화속의 모든 생명체들은 처음에는 기괴하고 흉칙하기까지 하지만
그건 인간의 관점에서다.

책을 읽어가는 동안 루모와 차모니아 대륙에 빠져들기 시작하면 그러한 생명체들에 대한 미추의 개념은 어느덧 사라진다.
내가 어느새 차모니아 대륙의 새로운 생명체가 되고,
온갖 기괴한 모습에 익숙한 그들이 나를 본다면 또 얼마나 웃기고 이상하게 생겼다고 생각할 것인가?
다양하고 다양한 생명체들
그 숫자만큼이나 다양한 의식과 생각의 구조들.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다양함의 극대치를 보고 싶다면 발터 뫼르스를 보라고 권하고 싶다.
인간의 상상력의 위대함과 만나고 싶다면 발터 뫼르스다.

그러면 결과는???
그냥 재밌다.
2권의 이 두꺼운 책이 끝나는 것이 아쉬울 정도로....

독일의 독자라면 이 소설에서 그들이 신화나 민담이나 온갖 이야기들을 끌어들여
상징의 분석이 어떻고 할 지도 모르겠는데,(실제로 독일의 평론가들이 그런 작업들을 한단다.)
내가 보기엔 그런 것들을 모두 버리고 아니면 나처럼 아예 모르고 이 책을 보는게 더 책의 재미를 배가시킬거라는 생각이 든다.
뭘 더 바라느냐고?
이렇게 재미있는 소설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10-17 0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돌이님, 굿모닝~~ 늘 명료하고 도움되는 리뷰 올리셔셔 고맙습니다. 저의 뇌구조는 흐흐... 규명불능입니다요.^^ 희망사항입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바람돌이 2006-10-17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소풍 갔다가 이제 돌아왔어요. 도움이 되신다면 저야말로 기쁘지요. 사실 내가 쓴 글을 누군가가 읽어준다는 것 만으로도 기쁜 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