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만나다 대담 시리즈 1
도정일 외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황우석 사건이 대한민국을 강타하면서 자연과학자의 철학에 대한 요구가 부쩍 강조되어져야 할 것 같은 세상이다. (물론 자연자학자 뿐이겠냐만.... 게다가 그렇게 생각 안하는 사람도 너무 많아 요즘 놀라운 대한민국이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나온 책. 자연과학과 인문학이 어떻게 보다 나은 세상을 같이 만들어가야 할까가 결국 이 책의 핵심주제이다. 자연과학이든 인문학이든 다른 식물 동물에겐 대단히 미안한 말이지만 어차피 인간에 대해 얘기하고 인간이 어떻게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것인가가 학문의 핵심 아니겠는가? 그런데 근대 이후에 와서 진행된 학문의 분화는 이 둘을 서로 별개의 것으로 간주하고 서로를 서로가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을 연출해왔다. 전 세계적 학문풍토가 그러할진데 일종의 특권화된 전문가주의가 판을 치는 대한민국에서는 다른 학문에 대한 관심은 문외한의 간섭으로 치부되는 일도 비일비재한 것 같으니....

어쨌든 이 두사람이 만났다는 그 자체에 우리 학계의 나아갈 방향이 보인다고나 할까? 좀 거창해보이긴 하지만....

두사람의 대담은 재밌다. 두 사람 모두 너무 어려운 말보다는 서로를 이해시키고 접합점과 달라지는 점을 찾기 위해 그리고 보다 나은 세상이란 결론을 위해 되도록 쉽게 자신의 애기를 풀어낸다. (고수는 원래 쉽게 말하는거 아닌가!! ) 도정일씨가 풀어내는 인문학, 신화의 세계, 최재천씨가 온갖 예로 설명하는 식물과 동물의 세계는 그 자체만으로도 흥미진진하다.

때로는 대립하고 때로는 만나고 때로는 서로가 서로의 입장을 거꾸로 얘기하기도 하는 과정은 대담이라는 것의 재미가 이런 것이구나 하는걸 확연하게 느끼게 해준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왜만나야 할까? 이 두사람이 만나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이 무얼까?

도정일씨는 '과학과 기술, 종교와 예술은 삶의 토대이다." 라는 말을 인용하며 인문학의 영역인 종교와 예술, 과학의 영역인 과학과 기술 이 두영역이 모두 인간문명의 토대를 이룬다면 그 토대들 사이에 접합 교섭 대화가 없을 수 없음을 얘기한다. 결국 인문학이든 자연과학이든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라는 점에서 공통의 지반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자연, 인간, 사회는 결국 자연과학으로도 인문학으로도 어느 한쪽으로는 절대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다. 이 둘의 만남에서 서로의 설명을 보충하고 듬성 듬성 나있는 구멍들을 메우기 시작하는 것이 아닐까?  수많은 대담의 주제들을 통해 서로가 도달하는 결론은 결국 같은 결론이다.

도정일씨가 주장하는 사회는 '두터운 세계' - 다양성, 다수성, 다원성의 세계이다. 이 3다의 세계를 유지하는데는 무엇보다 '관용의 윤리학'이 필요한데 이때 관용이란 것은 강자가 약자에게 베푸는 자비가 아니라 다른 것, 타자, 타인, 차이에 대한 존중을 말한다. 나라는 존재, 나라는 주체가 타자에 대한 책임속에서 만들어진다는 생각이 필요한 것.

최재천 -호모 심비우스(공생 인간) -농업혁명이라는 것도 어찌보면 공생이다. 자연에서 혼자 사는 식물들을 데려다 키워주고 그 식물들이 공생을 통해서 굉장한 번식을 이룬 것. 바로 이 공생 덕택에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 되었다고 이해할 수도 있다.

결국 요약하면 두터운 심비우스의 세계쯤이 아닐까? 여기서 다양성은 단순히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위해서 또는 좀 착하게 살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쯤이 아니라 바로 인간생존이라는 절대절명의 과제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세계관으로 등장한다. 다양성에 대한 목소리가 이제야 나오고 있는 대한민국, 그러나 획일성의 신화가 곳곳에 뿌리박혀있는 대한민국에서 21세기의 화두는 당연히 이 다양성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잠시 생각해보는 농담 -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드는 가상상황이 인간이 만약 이대로 멸종한다면 아마 그건 우주 전쟁이나 자연 재해나 이런 것 보다는 바이러스에 의해서 일어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세계의 다양성을 파괴하고 파괴해나가는 오늘날. 가까운 미래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어떤 바이러스가 나타날지 누가 알 수 있을까? 그런데 우리가 그 바이러스를 알아보려고 해도 그것을 알수 있는 자연환경의 다양성을 이미 파괴해 버린 후라면? 뭐 같이 죽어야지.... 근데 다같이 공룡처럼 멸종한다고 생각하니 그것도 뭐 그리 슬픈 일은 아닐 것 같은 생각이....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urblue 2006-01-19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간이 다같이 멸종하면 그리 슬픈 일은 아닐까요? ^^a

바람돌이 2006-01-19 19: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니까 농담요. 그냥 혼자 가만히 생각해보니까 죽음이 겁나고 안타까운건 미련이 많이 남아서인데 다같이 죽는다면 뭐 미련도 남을까 싶은 생각도.... 아마 체념에 가까운 상태가 되지 않을까? 그냥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