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사랑 미래의 고전 1
이금이 지음, 이누리 그림 / 푸른책들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시절의 첫사랑 하면 늘 떠오르는 소설이 있다.
국어 교과서에도 실렸던 황순원의 <소나기>
우리 시절의 첫사랑은 자고로 그렇게 수줍고 애틋한 그런 환상 한꺼풀을 뒤집어쓴 모습이었다.
대부분은 그런 상상으로 뒤덮인 짝사랑으로 끝났지만...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초등학생때부터 짝사랑이 아닌 진짜 사랑을 한다.
커플링을 교환하고 투투데이니 백일이니를 챙기고 주변에 알려서 인정을 받으려하고...
어쩌면 수줍은 환상은 벗겨진듯하지만 뭐 나름대로 진지한것은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요즘 아이들의 연애모습은 안타까움이 더 많이 드는것은 내가 늙었기 때문일까?
좋아하는 여자애를 위해서 해주고 싶은게 어른들이 하는 것과 똑같이 커플링이니 맛난 음식이니 꽃이니 선물이니 잔뜩 돈드는 것밖에 없는건 어떡하면 좋을까?
첫사랑의 가슴설렘과 두근거림은 그대로인데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은 더 많이 서툴러지고 더 많이 식상해지고 어른의 세계를 모방하는 모습.
아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뭘 보여준걸까?  

동재의 사랑의 실패는 결국 그런 표현의 한계를 보여준 것이 아닐까?
마음을 보여주는 것을 가르치지 못한 어른들의 미숙함
아이들의 연애나 마음을 인정하는 것과는 별개로 그 아이들이 마음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를 가르치는 것도 어른일 것이다.  
아이들은 이 책을 보면서 동재의 사랑이 실패한 이유를 뭐라고 생각할지 궁금하다.
설마 아이스크림 값이 없어서였다고 말하지는 않겠지?

이금이씨의 책이 좋은건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것일게다.
요즘 아이들의 일상을 어른의 시각으로 걸러내지 않고 그대로 보여준다는 것.
이게 말이 쉽지 어른이 된후에는 참 쉽지 않은 일인데 이금이씨는 참 아이들의 세계를 잘 안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09-04-26 0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마 요즘 아이들은 순진한 동재보다는 화려한 찬혁이를 더 좋아하는 것일수도. 동재와 찬혁이의 마음이 동일할 수도 있겠죠? 둘의 헤어짐이 연아의 일방적인 통보였으니 ㅎㅎ
아이들 참 대범해요.

바람돌이 2009-04-27 13:36   좋아요 0 | URL
아이들 눈으로 보면야 당연히 찬혁이가 더 좋겠죠. 폼 나잖아요. ㅎㅎ
다만 그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이 너무나도 물질적이고 어른들의 흉내투성이라는게 안타까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