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전염병이 돈다.
이유는 누구도 알 수가 없다.
어느날 갑자기 한 남자가 눈이 멀었고 곧 그 남자를 본적이 있는 모든 사람들은 갑자기 눈이 먼다.
암흑의 세계? 아니다. 하얀 백지의 세계....
순식간에 온 도시는 눈먼자들의 세계가 되어버린다.
단 한명. 최초로 눈먼 남자를 검사했던 안과의사의 아내만 제외하고....
왜 눈이 멀게 되었는지... 또 왜 하필 의사의 아내만이 유일하게 눈이 멀지 않았는지는 알 수 없다.
그저 세상이 백색의 공포속으로 빠져든다.

인간이 흔히 규정짓는 인간으로서의 품위란 어떤 것일까?
그것은 어느정도의 상황하에서 지켜질 수 있는 것일까?
가장 먼저 눈먼자들은 우선 빈건물에 격리수용된다.
공동체로부터의, 익숙한 것들로부터의 차단.
이제는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눈 먼자들은 어디까지 인간으로서의 품위를 지키며 서로를 돕고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 수있을까?
하지만 그들의 작고 소박한 공동체는 그것이 작기때문에 가능했다는것이 곧 드러난다.
눈먼자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수용소는 포화지경에 이른다.
그리고 외부에서 들여주던 음식물은 모두가 나누기엔 한계에 이르면?
결핍과 미래에 대한 불안은 새로운 폭력과 권력을 낳고.....

결국 눈먼자들이 이전에 멀쩡하다고 생각하고 살던 세상과 눈이 멀어 갇히게 된 수용소속 세상은 다른 것일까?
인간이 인간을 착취하고 지배하고자 하는건 결국은 눈뜬 세상이나 눈 먼 세상이나 다르지 않다.
인간이 얼마나 인간적 품위라는 것으로 또는 문명이라는 껍데기로 위장할 여유가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일뿐....
결국 눈이라는건 또는 눈으로 본다는 것은 껍데기일뿐이다.

그럼에도 작가는 희망을 버리고 싶지 않았나보다.
수용소속의 새로운 권력은 새로운 연대에 의해 깨진다.
가장 약한 자들의 연대에 의해서....
파괴된 수용소를 나서는 일군의 사람들.
그들은 새로운 공동체를 만든다.
서로가 서로를 의지하고 돕고 기대는 관계
착취나 지배가 아니라 연민과 연대가 그 자리를 메꾼다.
그 속에 희망이 있다고....
인간이 품위라는건 결국은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는 연대에 있다고....

너무나도 고전적이고 너무나도 뻔한 주제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늘 진실은 뻔하지 않던가?
그 뻔함을 못보는 것이 인간의 눈멈이고, 그 세상이 바로 눈먼자들의 세상일진대....
우리는 여전히 눈먼자들의 세상에 살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07-07-02 0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새벽에 웬 댓글 놀이를...
눈먼 자들의 세상. 제목이 참 시니컬하죠?
읽기가 무서웠던 소설이었습니다. 그러면서 벌써 눈뜬 자들의 세상을 읽고 있는데...
이건 더 지긋지긋하네요.^^
정말 투표 용지에 1번, 2번, 3번,... 끝에 <찍을 사람 없음>이 있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아마도 85% 정도가 거기 찍지 않을까요? 백지로 내지 않고 ㅎㅎㅎ

무스탕 2007-07-02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읽은 내내 무섭고 끔찍해 했던 책이에요. 정말 주제 할배한테 묻고 싶더군요. 왜 하필 '단 한명'을 여자로 설정했는지..
눈뜬자들을 읽어줘야 하는데 선뜻 손이 안나가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