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키요에는 고급 예술이자 값싼 정보매체였다. 또, 우키요에의 형식은시기에 따라 발전하고 쇠퇴하며 어지러울 정도로 모습을 바꿔왔다. 우키요에는 깔끔하고 단정하면서도 현란하다. 관능적이며 유치하고 저속하면서도탁월하고 로맨틱하다. 거기에 경쾌함과 기괴함까지 갖춘, 회고적이고 비장한 장르이다. 요컨대 우키요에는 팔색조 같다. - P7
우키요에는 일본의 도시 문명이낳은 산물이자 에도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형성되고 발전한 예술이기 때문이다. - P13
에도에서 ‘우키요‘는 구체적인 공간을 가리키기도 했다. 사람을 미혹하는가부키 극장과 유곽이 그것이다. 이 공간들과 절대적으로 결부되었던우키요에는 발생 초기부터 유흥가나 그곳에서 일하는 이들의 모습을 주된 소재로 삼았다. - P15
이렇듯 우키요에는 고급 예술과 상업매체로서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19세기 중반에 일본이 개항을 하고 서양의 근대 문물이 쏟아져들어오면서 우키요에는 실용적인 역할을 순식간에 잃어버렸다. - P23
한편, 우키요에는 에도 시대 말부터 일본 밖으로 대량 유출되었다. 우키요가 일회용 소모품에 가깝게 여겨졌기 때문에 쉽게 나라 밖으로 나갈 수있었던 것이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일본의 미술품은 유럽의 예술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는데 이를 ‘자포니즘 Japonisme‘이라고 한다. 그리고 우키요에는 자포니즘의 중심이었다. 우키요에의 대담하고 파격적인구도와 강렬한 색채는 유럽, 특히 프랑스의 미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서인상주의 미술이 성립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했다. - P23
반면 에도의 우키요에 화가들은 대중의 반응에 일희일비할 수밖에 없는 처지였다. 우키요에는 철저히 상업적인 체제 속에서 제작 · 판매되었기 때문이다. 상업영화의 감독이나 배우의 위상이 영화 한두편의 흥행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처럼 우키요에 화가 역시 신작의 흥행여부에 따라 처지가 달라졌다. - P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