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켈만이 그리스를 질병 없는 낙원으로 그린 데에는 그리스 대리석조각에서 보이는, 티끌 하나 없는 순백색 표면이 좋은 근거가 되었을 겁니다.  - P26

15~16세기 이탈리아 사람들이 황금비를 아름다움의 기준으로 삼기시작했는데, 이 과정에서 고대 그리스미술까지도 모두 황금비를 따랐다는 억측이 퍼져나가게 된 거죠. 우리나라 미술 교과서에도 황금비에 대한 서술이 사실인 것처럼 지난 수십년간 실려 있다가 최근에야 빠지게 되었습니다.
황금비와 관련된 사람들의 믿음은 아름다움이 특정한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는, 미의 결정론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 P47

고대 그리스미술에서 보이는 군국주의적 분위기, 다시 말해 그리스 남성 조각들이 보여주는 육체에 대한 맹목적인 찬양은 그리스미술에 드리워진 신비를 한꺼풀 걷어내면 드러나는 어두운 그림자입니다. 사실 그리스 남성 조각상은 크게 보면 전사 아니면 은동선수였습니다. 그리스 사회에서 스포츠가 전사의 신체 단련과 관계된다.
는 점을 고려할 때 운동선수조차도 군국주의적 함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많은 단독 조각상들이 전사자를 위로하기 위해 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리스 고전미술의 고유한 목적은 바로 전쟁이었습니다. 바로 이것이 그간 고전주의자들이 애써 외면하려 했거나 간과했던 점입니다.
- P65

고전미술로 집약되는 절대적인 ‘미‘
의 세계가 있다는 신념하에 그 세계에 최대한 가까이 다가가려 했던것이 르네상스 이후 서양 근대미술의 전통이었습니다. 그것이 18세기부터 한층 더 강화되면서 급기야 ‘벌거벗은 나폴레옹상‘까지 제작된 것입니다.
- P70

이 시기 아테네는민주주의의 실현과 정치적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초상의 제작을 엄격히 금지했습니다. 인간을 표현하더라도 특정 개인을 결코 연상시켜서는 안 되었기 때문에관념화, 이상화된 인간 형상이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이 시기 미술은 육체의 아름다움을 통해 인간의 위대함을 표현하는데 지향점을 두었지만, 이것이 특정 개인을 이상화하는 것은 극히 경계했습니다. - P90

고대 조각상에 보이는 무표정성은 고전의 얼굴로 자리매김했고,
이에 따라 고전적 아름다움은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고요한 절제와엄격함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 이렇게 고전미를 한정하다보니 감정이 격하게 표현된 예외적인 작품에 대해서도 결코 그 표현력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라오콘 군상 이 그 대표적인 예인데, 18세기에 이 조각상의 주인공인 라오콘의 표정을 놓고 심각한논쟁이 벌어지게 됩니다.
- P95

이렇듯 17세기에는 유쾌함과 방종의 한편에 참회의 모습이 자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극배우처럼 화려한 옷과 모자를 걸치고 자신의 경제적 번영을 자신 있게 드러낸 그림과 그 옷을 모두내던지고 초라한 행색으로 참회하는 말년을 보여주는 그림의 대리는 르네상스시대와 다른 문명의 깊이를 느끼게 하죠. 특히 박물관에전시된 「돌아온 탕자는 관객의 눈높이가 탕자의 발에 닿게끔 걸려있는데요. 더러운 맨발과 뒤축이 전부 해진 신발을 눈앞에서 마주한관람객은 그 앞에서 성찰의 시간을 갖게 됩니다.
- P131

이 칙령의 다른 대목을 보면 혁명에 성공한 프랑스는 위대한 국가인 반면 봉건 체제에 머물러 있는 이탈리아는 나약한 국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탈리아 대신 프랑스가 ‘자유의 조국을 수호하면서 미술을 통해 그 위대함을 보여줘야 한다는 논리를 펼칩니다.
그리고 그것의 중심에 ‘국립 박물관‘, 즉 루브르가 있으며 이곳을 인탈한 미술로 채워나가는 것을 주저하지 말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 P154

왜 이렇게까지 해야 했을까요? 누가 고진을 중심으로 세기의 명작을 차지하는가는 곧 누가 유럽의 정신적 뿌리를 차지하는가의 문제, 즉 유럽 전역에서 권위를 발휘할 정통성 문제와 직결되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나폴레옹이 벌인 이같은 약탈극은 고전의 지위를 한층 더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자유라는 혁명의 이름이 약탈의 정당한 근거로 둔갑한 걸 보면 조금 무시무시한 반전이라는 느낌도 들죠.
- P155

이렇듯 오늘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럽의 미술관 중 여러 곳이프랑스혁명과 이후 등장한 나폴레옹 시대에 세워지거나 크게 확대됩니다. 이 과정에서 나폴레옹의 의도는 결코 선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유럽 각지에 박물관과 미술관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는 과정에서 나폴레옹의 역할을 무시할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참담한 정복 전쟁 속에서 벌어진 부당한 미술품 갈취가 결과적으로 박물관의 시대를 열었다는 것에서 우리는 역사의 아이러니를 새삼 느끼게 됩니다.
- P164

영국박물관, 내셔널 갤러리 같은 공공 박물관과 미술관은 세계의주인공이 귀족과 소수 엘리트 집단에서 시민사회로 교체되는 것을보여주는 중요한 시금석입니다. ‘내셔널 갤러리‘의 명칭을 그대로풀면 ‘국민의 미술관‘이 되는데, 소수 지배층과 대다수 국민 사이의오래된 투쟁의 추가 국민 쪽으로 기울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뚜렷한증거임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 P184

이런 점에서 저는 미래의 박물관이 ‘인간성‘을 더욱 추구하리라예상해봅니다. 패권주의는 제국주의든, 그 어떤 의도로 만들어진 박물관이든, 인간은 결국 그 공간에서 인간의 창조물을 감상하고 즐거움을 느끼며 새로운 감싱을 발견해왔거든요.
그래서 마지막으로 저는 형식은 인간성을 따른다‘Fern FollowsHumanity 라는 말로 박물관의 미래적 정의를 내리고 싶습니다.  - P206

흑사병은 서양미술의 흐름을 크게 뒤바꿔놓은, 미술의 역사에서가장 중요한 계기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흑사병은 미술의 양식이나도상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무엇보다도 미술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 자체를 크게 바꿔놓았습니다.
- P226

화면 속에 그림을 주문한 사람의 얼굴이 노골적으로 들어가는 예가 이제부터 더많아지거든요. ‘그림을 통한 개인의 기억‘ 또는 이미지를 통한개인적 구원‘이라는 세속적 열망은 흑사병이라는 대혼돈 속에서 서양미술의 중요한 표현방식으로 안착하게 됩니다.
- P231

즉 흑사병 시대에 들어서면 중소 상인이나 노동자, 농부, 가난한과부도 미술을 통해 사후 자신의 추모를 기획하게 된 것이조, 이들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소품을 구매했고, 따라서 이 시기 작품의평균적인 가격은 이전보다 많이 낮아졌습니다. 이처럼 흑사병 시기에 미술의 수요층이 확대된 것은 개인 추모에 대한 열망의 결과였는데, 이런 관점에서 보면 흑사병은 미술의 대중화에 상당부분 공헌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P234

우리를 감동시키는 것은 완벽함과 위대함이 아니라 인간적인 고민과 그것에 대한 도전으로부터옵니다.
- P26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부만두 2021-10-04 18: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거 찜 해 두었는데. 어떤가요?! 추천하십니까?

바람돌이 2021-10-04 20:57   좋아요 0 | URL
음.... 뭐라 말할지 좀... 관점도 괜찮고요. 책도 쉽게 읽혀요.
그런데 이런 종류의 책을 많이 읽으신분들한텐 좀 심심한 느낌일듯하고요. 특별한 임팩트가 없달까?
미술관련 서적을 별로 안 읽으신 분이라면 강력 추천하겠으나 유부만두님이라면 딱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