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디의 우산 - 황정은 연작소설
황정은 지음 / 창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1월초에 대만여행을 갔을 때 택시를 탔었다.

기사님께 호텔 이름을 말했지만 잘 모르시는 것 같아서 호텔에서 받은 명함을 건넸다.

대만의 택시 기사님들도 다들 핸드폰을 이용해 구글네비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니 우리가 묵은 호텔이 타이베이의 약간 외곽지역이라도 별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했다.

그런데 이 기사님의 행동이 정말 희안했다.

구글 네비를 향해 계속 음성인식을 시도하시는거다. 그거야 그럴 수 있지만 왠일인지 구글이 계속 음성인식에 실패하고 있었다.

그러면 그냥 간단하게 손으로 목적지를 입력하면 될텐데 기사님은 끝도 없이 음성인식을 시도하고....

우리는 이걸 내려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고....

기사님은 결국 명함에 있는 호텔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더니 호텔측과 한참을 대화를 나눈 뒤에야 출발을 할 수 있었다.

 

엄청난 난폭운전을 지나 무사히 목적지에 도착하긴 했지만 난 앞의 상황을 이해할 수가 없었다.

차량에서 내린 뒤 우리끼리 "아 무서웠다. 앞으로 택시는 길거리에서 그냥 잡으면 안되겠다. 근데 그 기사 아저씨는 왜 그런거지?"뭐 이런 말들을 하는데 같이 있던 일행 중 한 명이 "그 기사 아저씨 글을 모르는 것 같아"라고 얘기하는게 아닌가?

 

아! 갑자기 뒤통수가 확 땡기는 느낌.

한국에서는 한글의 위대함과 교육열에 의해 적어도 문맹에 대한 고민을 해본적이 없었던 나는 택시기사님이 문자를 모른다는 상상 자체를 해본적이 없었던 거다.

아 그러고 보니 대만은 중국과 달리 여전히 번체자라고 해서 옛 중국 한자를 그대로 쓰고 있지.

그러면 문맹률이 생각보다 높을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확 들었다.

 

<디디의 우산>을 읽는 것은 내게 대만에서의 경험과 같은 뒤통수 빡의 연타였다.

아마도 그래서 이 책을 읽는 것이 그리 힘들었고, 읽고 나서도 한참을 먹먹했던 것 같다.

 

세운상가의 쇠락한 상가를 지키는 여소녀씨는 이곳을 새로운 상권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서울시에 할말이 많다.

세운상가 일대를 개발한다면서 사십년간 맥을 함께한 자신에게 질문하나 하지 않는 프로젝트는 됐다고 생각한다.

서울의 길을 잇고 쇠락한 상가를 부흥시킨다고 할 때, 그곳에 터잡고 살아온 사람들은 배제되었다는걸 나는 생각해봤던가?

오랫동안 함께 살아온 동성의 애인은 법적으로 아무 관련이 없어, 둘 중의 하나가 죽더라도 연락을 받을 수 없다는 것으로 늘 불안하다는 것을 나는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했다.

아 어떤 사람에게는 무소식이 희소식이 될 수 없음이구나.

용산역 1번 플랫폼에 지금 들어오는 기차가 어디로 가는 기차인지 안내판의 문자로만 알려주는 기차역에서 그것을 읽을 수 없는 사람에 대해서는 몰랐구나.

보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글자를 點子라고 하듯이, 볼 수 있는 사람을 위한 모든 문자와 기호를 묵자(墨字)라고 한다는 것을 이제 알았구나....

묵자의 세계 안에 갇혀 있으면 점자의 세계를 볼 수 없으며, 상식의 세계에 갇혀 있으면 다름의 세계를 보지 못한다는 것도...

아! 얼마나 많은 것들을 생각하지 못함으로써 타인에게 상처를 주고 살아가는걸까?

대만에서 만난 택시기사님은 외국인들의 의아해 하는 표정속에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최근에 읽었던 <내안의 차별주의자>나 <선량한 차별주의자>같은 인문서적들의 주제의식과 맞닿아 있는 문제의식들이다.

하지만 문학은 문학이다.

인문서적이 결코 닿을 수 없는, 사람의 마음과 상처를 섬세하게 알아주고 위로하는 거기에 문학의 자리가 있다.

 

dd를 만난 이후로는 dd가 d의 신성한 것이 되었다. dd는d에게 계속되어야 하는 말, 처음 만난 상태 그대로, 온전해야 하는 몸이었다. d는 dd를 만나 자신의 노동이 신성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사랑을 가진 인간이 아름다울 수 있으며, 누군가를 혹은 무언가를 아름답다고 여길수 있는 마음으로도 인간은 서글퍼지고,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18

 

참으로 오랫만에 사랑에 관한 절절한 문장을 만났다.

작가는 이 책 곳곳에서 이런 칼날처럼 와닿는 문장으로 인간의 삶의 순간들을 표현한다.

저 문장만으로도 독자는 d 또는 dd의 상실을 예견하고 마음이 선뜩 내려앉는다.

 

아침에 인사하고 나갔던 사람이 돌아오지 못하는 순간이 얼마나 비일비재한지 우리는 생각치 않는다.

상실 이후의 삶에 우리는 전혀 내성이 없다.

dd를 잃은 d의 삶은 계속 되지만 누군가가 손 내밀어 "너 나 알지?"라고 명명해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늘 상실속에 멈춰있을 수 밖에 없다.

그 손내밈으로 d는 진공관속에서 울리는 음악이라는 다른 세계를 만나고, 그것이 dd를 추억하며 살아가는 새로운 방법의 세계로 한발을 딛는다. 

사는건 누구에게도 녹녹치 않다.

그래서 우리는 사실상 늘 슬프고 지친다.

그럼에도 살아간다. 그 슬프고 지치게 하는 순간들을 살아가는 손내밈의 순간, "너 나 알지?" 또는 "나 너 알아!"의 순간들로 인해 힘을 얻는다.

 

누군가는 이 책이 혁명을 이야기한다고 하지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혁명이 아니라 혁명 전과 후에도 여전히 계속되는 삶을 이야기한다.

광화문을 메웠던 감격의 순간과 대통력 탄핵을 결정하던 헌재의 그날이 아니라 그 이전에도 그 이후에도 계속 살아가야 하고, 이겨내야 하고, 견뎌내야 하는 사람들의 삶.

언제든 혁명이 인간의 모든 것을 해결해준 적이 있었던가?

그것은 인간의 견디는 삶에서 한번의 빛남 또는 한번의 축제같은 것이다.

축제가 끝나면 누군가는 쓰레기를 치워야 하고, 대다수는 일상의 삶을 또 견뎌내야 하고, 또 누군가는 그 축제에서도 소외된 자신을 추슬려야 한다.

혁명이 또는 축제가 의미 있는 것은 이후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좀 더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용기를 주기 때문이고, 생각지 못했던 삶의 다양함을 하나라도 더 알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삶은 지속된다.

아니 지속되어야 한다.

오늘도 싸우고 있을 김지은씨에게도, 서울시청의 여성공무원에게도, 작업장에서 위험한 일에 무방비하게 노출되고 있을 노동자들에게도 여전히 삶은 지속되어야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0-09-08 16: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월이면 코로나가 번지기 바로 직전이었네요.
그때만해도 이럴 줄은 상상도 못했죠.
그때가 마구마구 그립습니다.
잘 다녀오셨네요.ㅠ

바람돌이 2020-09-08 16:55   좋아요 0 | URL
1월 초였어요. 그때 안가고 1월말쯤 잡았으면 아마 못갔을거예요. 저도 그때가 마구마구 그리워요. 앞으로도 한동안은 힘들겠죠? 지금은 내년에는 좀 회복되었으면 하고 있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