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과 피의 나라 러시아 미술 Art Travel 1
이주헌 지음 / 학고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서구 회화에 비하여 러시아 미술은 아무래도 우리에게 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 책에서 얘기되고 있는 러시아 화가들도 이름을 들어본 경우는 샤갈, 칸딘스키, 말레비치 같은 20세기의 현대화가들을 제외한다면 일랴 레핀 정도가 유일하다.
그런데 책을 읽어나가면서 그림들을 보면서 갖게 되는 느낌은 많이 봐온 서유럽의 화가나 그림들보다 오히려 러시아의 미술이 더 친숙하다는 것이다.
분명히 처음보는 그림이고 처음 듣는 얘기인데도 불구하고 그림들이 주는 느낌은 훨씬 더 친근하게 다가온다.
어쩌면 그것은 이주헌씨가 얘기하는대로 러시아 회화의 특징이 문학성이 아주 강하다는 것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서구에 비해서는 동양적인 특징을 많이 내포하고 있는 러시아의 지리적 특징때문인지....
구체적인 이유야 알 수 없지만 처음 본 러시아의 미술작품들이 오히려 많이 봐온 서구의 작품들보다 훨씬 더 공감의폭이 깊었다는것은 신선한 경험이었다.

이 책은 크게 두부문으로 나뉜다.
첫번째는 러시아의 트리티야코프 미술관과 러시아 미술관을 중심으로 러시아 미술의 역사를 개괄하고 있는 장으로 이 책의 중심이다.
두번째는 에르미타슈 박물관과 푸슈킨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서유럽 작품들을 소개하면서 러시아 미술이 서양미술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해보기 위한 장이다.
하지만 두번째 부분은 주로 소장품을 소개하는 정도에 그쳐 본래의 집필의도에 충실했는지는 좀 의문이 든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첫번째 부분을 좀 더 보강하여 한권으로 완성하는 것이 훨씬 더 알찬 책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러시아 역시 기독교 국가로서 기독교회화를 빼놓을 수 없다.
또한 종교의 중심으로서 예수의 형상화 역시....
그런데 다른 유럽의 예수의 이미지와 러시아의 그것이 가장 확실학 달라지는 지점은
'인자(人子)로서의 예수 상'을 꼽을 수 있다.
19세기 러시아 화가들이 그린 이 예수상은 만인의 구세주로서 그가 지닌 희생과 관용의 이미지뿐 아니라 비애와 고뇌, 고독 같은 지극히 인간적인 감정을 드러내 보인다. 특히 19세기 러시아 역사가 혁명을 앞두고 엄청나게 고동친 사실을 떠올린다면 이 예수 상에서 우리는 당대 민중의 염원과 간구, 아픔 같은 것을 어렴풋하게나마 느낄 수 있다.(25쪽)

현실과 동떨어진 예수가 아니라 러시아 미술에 나타나는 예수는
구세주로서의 광휘를 발휘하지 않는다.
그는 러시아 민중속으로 걸어오며 그들속에 묻혀 그들과 함께 하며
때로는 분노하고 고독해하고 고통스러워한다.
나에게는 이러한 러시아의 예수상이 훨씬 더 마음에 와닿는다.
진정한 구세주란 이런 모습이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도상을 러시아 미술에서 발견했다.

무엇보다 관심있게 본 분야는 러시아 역사화이다.
러시아 회화는 문학적 특성이 강하단다.
그래서인지 러시아 역사화들을 보는 것은 한편의 이야기를 보는 듯한 느낌이다.
그리고 주인공에서 주변인물까지 그 풍부한 표정과 개성이 눈을 사로잡는다.
그림속 인물들이 지금이라도 살아나와 내 손을 잡을 듯 풍부한 묘사가 인상적이고
또한 극적인 순간을 절묘하게 캐치해낸 장면 선택은 지금 그 사건이 바로 눈앞에서 일어나는듯 생생하다.
그럼으로써 이 역사화들은 단지 과거의 사건을 재현해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늘의 우리의 현실을 다시 돌아보게 한다.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이미지로서의 회화란 러시아 미술에 걸맞는 표현일 것이다.

서유럽에서 인상파가 도래해 신흥 부르조아지의 구미를 맞추고 있을때
러시아에서는 러시아의 현실을 비판하고 사회변혁을 열망하는 그림들을 생산해냈다.
서유럽 역시 그러한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러시아에서는 보다 더 본격적이고 더 미술과 현실이 밀착되어 나타났다.
당대의 현실을 보다 더 정확하게 직시한 점.
이것이 오히려 지금에 와서도 보편적인 공감을 오래도록 갖게 하는 힘이 되었던 게 아닐까?

이런 흐름과는 별개로 러시아 미술은 유난히 많은 예술가들의 초상을 제작한 나라이기도 하다.
왕후장상이 아니라 예술가들의 초상이 중심이 될 수 있었던 나라
그런 나라의 수많은 예술가들의 초상화를 보는 것도 그림 보는 재미를 더해준다.
러시아의 양대 문호이기도 한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의 초상화는 두 사람의 극단적으로 달랐던 삶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을만큼 다른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일랴 레핀이 그린 만년의 톨스토이는 세속의 경계를 초월한 듯한 초인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바시리 페로프의 도스토예프스키는 세속의 고통을 결코 잊을 수없는 고뇌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누구의 모습이 더 맘에 들지는 아마도 보는 사람의 마음일듯....
솔직히 나의 경우 문학작품 역시 도스토예프스키가 훨씬 맘에 들었고 초상화 역시 마찬가지다.
또한 음악가인 무소르그스키와 루빈스타인의 형형한 눈빛을 만나는 것도 즐거움이다.

늘 이주헌씨의 글을 보면 참으로 친절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여태껏 만날 수 없었던 러시아 미술을 안내한느데도 역시 마찬가지다.
그의 친절한 안내를 받아 떠나는 러시아 미술여행은 즐거움이 가득하다.
의외로 우리의 정서와 많이 닿아있는 그래서 공감의 폭이 다른 서구미술보다는 훨씬 큰 나라.
풍경화조차도 우리와는 참 다른 풍경이지만 오히려 아련한 그리움을 낳게 한다.
즐거운 여행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짱꿀라 2007-01-20 2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늘 읽을 거리는 주시는 바람돌이님, 감사하요. 잘 읽고 갑니다. 행복한 주말 되시고요.
이 책 바로 주문 들어갑니다.

바람돌이 2007-01-21 0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타님/감사합니다. ㅎㅎㅎ 근데 읽으시기 전에 제가 저자인 이주헌씨의 열렬한 팬이라는 것은 감안하셔야 할 듯합니다. 전작주의에 별로 관심없는 제가 유일하게 어린이용 도서를 제외하고는 다 사서 모으는 작가가 바로 이주헌씨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