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탁탁 톡톡 음매~ 젖소가 편지를 쓴대요 ㅣ 어린이중앙 그림마을 1
도린 크로닌 글, 베시 루윈 그림, 이상희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받고 한 번 읽어주자 마자 아이는 데굴 데굴 구른다.
줄곧 이 책을 들고 엄마 탁탁 톡톡 음매~~ 책 읽어줘라며 조른다.
저 탁탁 톡톡 음매~~라는 의성어가 아이들에게 제일 먼저 다가가는 것 같다.
의성어 하나가 그림책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완전히 실감하게 된다.
만화체에 가까운 그림체
재미난 의성어는 아이들에게 이 책을 좋아하게 하는 결정적인 이유인 것 같다.
하지만 내용은 그리 만만치 않다.
우연히 헛간에 버려진 타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 젖소들은 자신들의 요구를 농부 브라운씨에게 전달한다.
"헛간이 너무 추워요. 전기담요를 마련해 주세요"
젖소가 타자를 치다니 브라운씨는 절대 안돼 하면서 무시해버린다.
그런데 세상에 젖소가 파업을 벌인다.
우유없음.
더더욱 놀랍게도 닭들까지도 파업에 참여한다.
달걀없음.
이 상황에 놀란 브라운씨는 상황파악을 못하고 강경대응.
하지만 현명한 젖소들의 협상제안으로 협상은 타결된다.
타자기를 돌려주고 전기담요를 교환한다는 식으로...
그리고 협상의 중재자로 오리가 등장한다.
이제 젖소들과 닭들은 더 이상 밤에 춥게 지내지 않아도 되게 되었다.
그러면 브라운씨는 타자기를 돌려받을 수 있게 되었을까?
놀랍게도 오리들이 각성했다.
이제 농장은 탁탁 톡톡 꽥꽥~~~하는 소리로 요란하다.
오리들의 요구는?
그 기발한 요구는 책을 볼 사람들을 위해서 남겨두자.
직접적으로 너의 생각과 요구를 정확하게 제대로 말할 줄 알아라고 하는 건 얼마나 무미건조한가?
심각하고 너무나 중요한 주제를 이렇게 재미나게 표현할수 있다는게 너무 놀랍다.
그런데 큰일났다.
이 책을 본 이후 우리집 딸래미가 편지를 보내기 시작했다.
그전에는 편지의 내용이 주로 엄마 사랑해요류가 다였다.
근데 오늘 두 개의 편지는 명백한 요구사항을 쓴거다.
물론 타자기가 없으니 손으로 쓴 편지 하나와 내 핸드폰 문자로 날아온 편지다.
첫째, 핸드폰 문자 - 엄마 일어나 언제까지 잘거야 이 잠꾸러기야
둘째 손으로쓴 편지 - 엄마 컴퓨터 더하고 싶어
배운걸 바로 써먹는 딸래미를 기특하다고 해야 하나?